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칼융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주의책모임
- 자아찾기
- 심층심리학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공부
- 여신찾기
- 여성들의삶
- 원형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책모임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의자아
- 내면치유
- 꿈해석
- 여성의삶
- 페미니즘
- 여성주의모임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일상학자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꿈모임
- 생애돌아보기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칼융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주의책모임
- 자아찾기
- 심층심리학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공부
- 여신찾기
- 여성들의삶
- 원형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책모임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의자아
- 내면치유
- 꿈해석
- 여성의삶
- 페미니즘
- 여성주의모임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일상학자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꿈모임
- 생애돌아보기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딸에게 엄마는 그저 '따뜻한 밥한술'로 기억되지 않습니다. 밥 뒤의 고됨이 보여서 미안하고 그 고됨을 반복하기 싫어서 멀어집니다. 그리고 다시 뒤돌아보죠. 그 모순된 감정 속에서 딸들은 분열합니다. 엄마에 대해 회상하는 딸들의 책을 함께 읽고 엄마와 나의 관계에 대해, 그리고 다시 나에 대해 알아가 봅니다. 세가지 형식, 세가지 시선으로 엄마와 나를 바라보고 마지막 시간에는 나와 엄마의 이야기를 글로 써서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내가 붙잡고 있던 '어린 나의 미래'를 다정히 살펴보고픈 분들을 초대합니다. - 1주차 (5/30) 이슬아 / 생각하면 힘이 되는 든든한 뿌리로서의 엄마 - 2주차 (6/6) 김문음 / '죽일 수도, 날려보낼 수도 없는' 엄마 앞에서 - 3주차 (6/13) 아니 에르노 / 엄마..
"탈출기(출애굽기) 이야기는 대가족에서 국가로 변형되어 갔듯이, 무능력함으로부터 자기 결정으로 옮겨가는 백성들의 이동과 관련이 있다." _ 위 구절처럼 탈출기는 저에게 인간집단이 조직화되어 가는 과정과 피억압자의 해방과 자유를 향한 여정, 이렇게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읽혔습니다. 그것은 모세의 성장과도 연결되어 있는 듯 했어요. 탈출기에서는 40이라는 숫자가 반복됩니다. 모세가 40살에 이집트인을 죽이고 달아났고, 80살에 하느님의 계시를 받고 이집트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탈출 이후에 40년간 광야를 떠돌게 되구요. 이 숫자는 성경의 다른 부분들에서도 유의미하게 반복됩니다. (노아의 홍수 때 40일간 내린 비, 예수님의 40일 기도 등) 4라는 숫자가 고대로부터 완전성을 상징하는 숫자로 여겨졌다고 하던데..

사람은 생각의 문이 열린 틈을 통해서만 정보와 경험을 받아들일 수 있겠지요. 여러 번 읽어보았던 [창세기]지만 지금의 저는 예전의 나와 다른 틈으로 성경 텍스트를 받아들였습니다. 요즈음 제가 라는 연구 프로젝트에서 연구주제로 잡은 '페미니즘은 발명된 의식인가 잃어버린 본능인가? 우리가 믿어야 하는 것은 과거의 원형적 에너지일까 미래의 자기초월적 의지일까.'라는 것과 겹쳐지며 생각이 계속 이어졌어요. 창세기가 메소포타이마문명과 이집트문명의 교류, 만남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에덴의 위치가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 부근이라고 이야기되고 있는데 아브라함의 여정이 '에덴지역'인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승달지대에서 시작하여 물길을 따라 돌면서 이뤄지네요. 문명끼리의 만남, 충돌, 화해 그리고 그 역사를 자기민족의 ..

밸류가든의 여성주의 문화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 네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마지막 모임에서는 를 함께 읽으며 소설이 비추는 지금 우리의 현실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는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엄마가 자신의 딸 그리고 딸의 동성애인과 한 집과 살게 되면서 이해할 수 없었던 딸의 삶과 점차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책을 읽기 전에는 단순히 엄마와 딸이라는 애증의 관계를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책을 읽고 나니 엄마와 딸의 관계가 여성과 가족, 여성과 노년이라는 이슈와 촘촘히 얽혀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소설 속에서 엄마와 딸 사이의 간극은 가족이라는 개념을 각자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느냐로부터 시작됩니다. 가족이라는..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 세번째 모임에서는 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에서 여성의 삶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랜 시간을 두고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옛이야기는 인류 정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원형 에너지를 품고 있습니다. 여성 캐릭터의 서사가 전하는 여성성의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면서 각자의 삶으로 가져가야 할 과제는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았어요. 은 심청이라는 연역한 여성이 죽음과 부활을 통해 충만함으로 재탄생하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 속에서 심봉사는 공허하고 우울한 남성성을 상징하며 심청은 남성 우위의 사회에서 희생되는 여성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심봉사의 분별없는 '눈 먼 상태'는 결국 체면때문에 딸을 죽음으로 몰고 갑니다. 심청도 이러한 결정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
지난 화요일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 두번째 만남을 가졌습니다. 이번에는 '나혜석, 글쓰는 여자의 탄생'을 함께 읽고 이야기나누었어요. 이 책에서는 기고문과 소설, 좌담회, 신문 조서 등 나혜석이 썼거나 연관되어 있는 다양한 글을 통해 나혜석이라는 인물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습니다. 사람은 어느 누구도 단편적이지 않습니다. 각자가 가진 다양한 관계와 그 안에서의 역할, 그리고 그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수만큼 다양한 해석과 판단이 존재하지요. 특히나 나혜석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서 극단적인 평가가 내려졌습니다. 한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최초의 근대 여류소설가,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 등 '최초'라는 수식어 속에서 누군가에게는 선구자로 칭송받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이상주의자..
밸류가든의 여성주의 문화예술 아카데미 프로그램 중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 첫번째 시간을 가졌습니다.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은 다양한 문학 장르 안에서 여성의 삶을 만나고 나를 비춰보는 여성주의 책모임입니다. 첫번째 시간에는 문정희 시인의 를 함께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문정희 시인은 고교생때 서정주 시인에게 발탁되어 등단한 이래 50여년이 넘는 지금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여류'시인 으로 구분되는 것을 싫어하지만 본질적 존재로서 '여성'시인인 것을 축복으로 여깁니다. 범주화된 여성으로 시인의 정체성이 조각나는 것은 거부하지만 야성적인 창조의 혼을 가진 여성이라는 존재로서 자신이 시인이라는 것에는 벅차게 기뻐합니다. 는 문정희 시의 커다란 주제 중 하나인 '여..

[꿈의 속삭임] 마지막 열번째 시간을 가졌습니다. [꿈속모임]에서는 총 10주간 한 주에 한번씩 만나 꿈에 대해 알아보고 서로의 꿈을 나누고 이야기했습니다. 첫 8주동안은 꿈에 관한 2권의 책을 읽으며 꿈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인지, 꿈에 어떻게 다가갈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주동안은 이제까지 나누었던 꿈을 돌아보고,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싶은 꿈을 골라 나만의 '꿈해석 무대'를 펼쳐보았습니다. 꿈의 의미를 찾아가는 그룹꿈작업 방법은 다양합니다. 다수의 사람이 함께 모여 꿈을 나누고 각자의 해석을 주고받는 기본적인 방법 외에도 모임 안의 사람들에게 나의 꿈을 재현해보게할 수도 있고(꿈극장) 꿈 속 캐릭터들을 서로 대화하게 하는 꿈역할극을 할 수도 있습니다. 꿈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나누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