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일상학자
- 여성주의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의삶
- 책모임
- 여성의자아
- 생애돌아보기
- 여성들의이야기
- 칼융
- 여신찾기
- 내면치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꿈모임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
- 여성들의삶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페미니즘
- 페미니즘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꿈해석
- 원형
- 페미니즘책모임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일상학자
- 여성주의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의삶
- 책모임
- 여성의자아
- 생애돌아보기
- 여성들의이야기
- 칼융
- 여신찾기
- 내면치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꿈모임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
- 여성들의삶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페미니즘
- 페미니즘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꿈해석
- 원형
- 페미니즘책모임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밸류가든이 서초구 양성평등기금 지원을 받아 '여성주의 문화예술 아카데미'를 진행합니다. 밥상모임, 책모임, 영화모임, 성인지교육, 생애사기록 워크샵 등 다채로운 형태 안에서 여성주의를 우리 삶과 연결지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그 중 책모임 꼭지는 제가 맡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입니다.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and.us/band/57843479/post/1073 밴드-모임이 쉬워진다 밴드는 그룹 멤버와 함께 하는 공간입니다. 동호회, 스터디, 주제별 모임을 밴드로 시작하세요. band.us 밸류가든은 서울시 서초구 내방역 부근입니다. 모든 모임은 무료로 진행되며 아래 링크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 8~9장에서는 자각몽과 원형을 통해 꿈이 어떠한 의미인지 살펴봅니다. 이전에 읽었던 책, '정신치료와 꿈의 힘'은 꿈 속에서 적극적으로 갈등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현실에서의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더 연구해볼 과제라고 남겨두었는데요, 이 챕터는 그 질문에 대한 대답과 같습니다. 서구에서 자각몽을 인지하게 된 것은 1800년대 후반이지만, 동양에서는 일찌감치 자각몽 수행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죽은 영혼들이 꾸는 꿈을 바르도라고 합니다. 바르도에서는 내면의 억눌렸던 측면이 마귀로 나타나 위협하는데, 많이 억눌렀을수록 더 무서운 마귀로 나온다고 하네요. 이것은 자기자신으로 살지못한 인과응보의 판결을 스스로 내리는 것입니다..

[꿈의 속삭임] 일곱번째 모임에서는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6~7장을 함께 읽었습니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그룹꿈작업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 살피고 모임의 실질적인 진행방식에 대해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사례들을 보여줍니다. 낯선 사람들이 모여 꿈이라는 깊은 내면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내가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에서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함부로 판단하지 않는 열린 마음, 정서적인 솔직함, 진지한 관심 그리고 존중과 기여의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하지요. 누구도 소외되지 않으면서 참여가 강요되지도 않고, 꿈주인공의 권리를 존중하면서 나의 의견을 말하는 것은 섬세한 균형잡기가 필요한 일입니다. 그래서 저자는 이러한 조율이 원활히 흐를 수..

여섯번째 모임에서는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의 4~5장을 함께 읽었습니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꿈의 집단무의식적인 부분들과 그것이 개인 뿐 아니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실제 삶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들과 현상을 꿈을 매개로 해석하는데 그 주장이 과학적인 연구 결과에 근거해서 분석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님에도 매우 설득력있게 다가옵니다. 게다가 저자만의 맛깔진 용어들은 개념들을 쉽고 친숙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네요. 우리 안에는 성장하고 변화하려는 원형적인 욕구가 있습니다. 꿈은 이것을 반영하여 메세지를 전달하지요. 그래서 꿈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내면의 통합으로 가는 길에 매우 중요한 방법 하나를 놓치고 있는 것인데 우리는 스스로 이에 대한 보상을 하려합니다. ..

다섯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부터 우리는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을 함께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은 지난 4주간 읽은 '정신치료와 꿈의 힘'처럼 그룹꿈작업의 유용함을 강조하지만 조금 다른 시선으로 꿈을 바라봅니다. '정신치료~'는 여러 꿈 해석 이론 중 펠즈의 게슈탈트식 접근에 기반하여 꿈작업을 진행합니다. 게슈탈트 접근법에서 그룹꿈작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꿈 해석 또한 집단상황이라는 인간의 기본적 환경 속에서 이루어져야 개인이 의식적으로 거부한 부분이 드러나고 개인 인격 속 결함을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반면 '사람이 날아다니고~'의 저자는 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꿈을 바라봅니다. 그룹꿈작업이 가능한 이유는 꿈이 은유와 상징이라는 보편의 ..

네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에 함께 읽은 부분은 꿈에 대한 전망과 기대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저자는 꿈이 우리가 속한 삶의 각 부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과 비전을 이야기하면서 앞으로 꿈 연구가 나아갈 방향도 제시합니다. 현대 사회의 사람들은 감정에 솔직하게 대면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습니다. 감정을 드러낸다는 것은 보통 관계를 위기로 몰아가는 위험한 행동으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감정적이기보다는 이성적이기를 바라지요. 하지만 이렇게 자신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는 것은 현재의 나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것이고 이 상태로 서로 관계를 맺으면 많은 문제들이 야기됩니다.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도구로 꿈을 활용하면서 가정, 학교, 교회 그리고 직장까지 내가..

세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주에는 '정신치료와 꿈의 힘' 3부 '꿈의 세가지 얼굴'을 읽은 후 함께 이야기하고 꿈을 나누었습니다. 꿈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역사와 꿈을 탐구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통과한 후 저자는 꿈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자신의 시각을 제시합니다. 그것은 바로 꿈을 통해 '나의 바깥'과 '나 자신' 그리고 '내 안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꿈을 통해 바깥을 본다는 것은 꿈의 내용이 혹시 외적 사건에 대한 실제 정보를 나타내고 있지 않은지 살피는 과정입니다. 꿈은 우리가 의식적으로는 알지 못하는 어떤 진실에 대해 알려주거나 경고를 보내고 미래를 암시하기도 하지요. 이것은 오랫동안 꿈의 신비한 능력으로 여겨져왔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를 신비롭게 보기보다는 무의식층에 쌓인 작..

두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에 우리는 '꿈을 탐구한 사람들'에 대한 부분을 읽으며 꿈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저자는 인류가 꿈에 다가가는데 기여한 여러 꿈 이론들 중 자기가 직접 해 볼 수 있는 단순한 꿈 해석법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골라내어 소개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면서 프로이트에서 시작해 융을 거쳐 홀과 펠즈의 꿈분석 방법론들을 설명합니다. 꿈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프로이트는 항상 그 시작점에 있습니다. 과학과 '의식'의 시대를 통과하며 하찮게 여겨지던 꿈을 다시 유의미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한 중요한 인물이기 때문이지요. 프로이트는 꿈은 무의식의 표현이고 무의식은 의식으로 끌어올리지 못하고 억압된 감정과 욕구의 창고라고 여겼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