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신
- 여신찾기
- 꿈해석
- 페미니즘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삶
- 자아찾기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자아
- 심층심리학
- 생애돌아보기
- 꿈모임
- 칼융
- 내면치유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신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주의모임
- 원형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의삶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옛이야기해석
- 여성주의책모임
- 일상학자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__ ]하는 새 여자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두번째 중간 후기 옛이야기, 꿈 그리고 나의 삶을 연결하며 내면을 밝혀보는 시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모임이 그룹꿈작업 파트를 마무리하였습니다. 6주동안 우리는 무의식에서 건져올린 13개의 꿈을 함께 나누고 꿈에 반영되는 각자의 투사를 이야기했습니다. 우리 안에는 성장하고 변화하려는 원형적인 욕구가 있고 꿈은 이것을 반영하여 '최상의 맞춤형 방법'으로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그룹꿈작업 활동가인 제레미 테일러는 이를 '꿈은 진화의 연습장'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의식이 나아가야할 전체성으로 꿈이 꿈주인을 인도한다는 것이지요. 우리는 황금궁전에 초대받기도 하고 군인들이 보석을 찾는 걸 지켜보거나 광폭한 거인을 마주하기도 했습니다..

여성서사 모임 기획단 '[ __ ]하는 새 여자'가 격주 화요일마다 북클럽을 열어요!여성이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관점의 변화를 선물하는 책들을 읽습니다. 사회학, 의학, 미술, 심리, 문학 등 여러 분야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며 여성의 삶을 이야기해 보려구요.격주 화요일 오전에 공감터 참방(경기도 의왕시 옥박골동길 14)에서 모입니다. 별도의 신청 없이 관심이 가는 책을 이야기하는 시간에 편하게 들러주세요. 참가비는 없으며 책을 읽지 않으셨어도 환영합니다. 아이들학교 여름방학 전까지의 북클럽 책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6월 11일(화) 오전 9시~11시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 이반 일리치 ▶ 6월 25일(화) 오전 9시~11시 ‘우리의 더 나은 반쪽’ / 샤론 모알..
🕊[ __ ]하는 새 여자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중간 후기 옛이야기, 꿈 그리고 나의 삶을 연결하며 내면을 밝혀보는 시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모임이 옛이야기 파트를 마무리하였습니다. 모임에서 우리는 재투성이, 흰눈이와 빨간장미, 손없는 소녀, 홀레할머니까지 4편의 옛이야기를 함께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부모로부터의 정신적 독립, 성적 에너지의 건강한 수용, 수동성과 능동성에 대한 분별, 내면의 죽음와 부활을 통한 바로서기 등 각각의 이야기들 주요하게 활용한 모티브들은 다르지만, 모든 이야기들이 '인간의 성장'이라는 주제로 모여지는 느낌이었어요. [옛이야기의 매력]에서 부루노 베텔하임은 옛이야기는 어린이들이 성장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을 위로하고 혼란스러운 내면에 질서를..
* 옛이야기와 꿈이라는 환상적인 이야기 속의 상징성을 우리 삶과 연결해보는 모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다섯번째 모임 후기입니다. 오랫만에 먼지없는 깨끗한 날이었네요. 편안해진 숨만큼 여유로운 쉼이 있었던 주말이었길 바랍니다. 홀레 할머니와의 만남은 어떤 여운으로 마무리되고 있나요? '홀레 할머니'는 보통의 옛이야기와는 다른 몇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모든 등장인물이 여성임. - 과부가 가정의 기본배경이지만 '흰눈이와 빨간장미'의 과부와는 전혀 다른 상징성을 지님. - 결혼이 아니라 '돌아옴'이 이야기의 마무리. - 현실적이지 않고 파워풀한 대모신 캐릭터가 등장. 이러한 면들 때문에 민담과 신화의 경계에 서 있는 이야기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이 이야기는 특히나 어둠으로의 하강과 ..
* 옛이야기와 꿈이라는 환상적인 이야기 속의 상징성을 우리 삶과 연결해보는 모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네번째 모임 후기입니다. 후끈한 주말을 지나고 한바탕 비가 오더니 다시 봄이 되었네요.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전 봄을 잘 만나고 보내줘야겠다 싶습니다. '손없는 소녀'와의 만남은 여러분 마음 속에 어떤 모습으로 남았나요? 기독교적 메세지가 노골적으로 드러난 이 이야기가 어떤 면에선 조금 불편하기도하고, 어떤 부분에선 명확해서 좋기도 했었던 것 같습니다. 달래가 짚어주신 것처럼 '아버지 뜻대로 하세요.'라는 문장은 이 이야기의 주제를 관통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었어요. 주인공은 아버지로부터 손을 잘리고 남편에게 의지했다가 하느님 아버지의 은총 안에서 다시 손이 자라납니다. 저에게 이 여정은 지..
* 옛이야기와 꿈이라는 환상적인 이야기 속의 상징성을 우리 삶과 연결해보는 모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세번째 모임 후기입니다. 봄 만끽하는 주말되셨나요? '눈하얀'과 '장미붉은'의 숲 속이 이런 모습이었을까 싶은 꽃동산에 눈이 즐거운 날들이네요. 모임에서 나눈 이야기들이 마음 안에 어떻게 자리잡고 있나요? 혹시 새로운 감정과 생각이 싹트고 있을까요? 민담의 극적인 서사 흐름이 없이 평이하게 이어지는 '눈햐안과 장미붉은'은 밋밋하게 느껴졌지만 오히려 그래서 마음이 편안하기도 했습니다. 이 날 우리가 나눈 해석들을 크게 아래의 세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삶의 '혼란-해결' 흐름이 생의 마지막까지 계속 반복되리라는 암시 - 성적에너지는 외부의 시선에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에너지로 ..
* 옛이야기와 꿈이라는 환상적인 이야기 속의 상징성을 우리 삶과 연결해보는 모임, [옛이야기와 꿈 그리고 나의 이야기] 두번째 모임 후기입니다. 어제 재투성이 이야기 하나로 정말 많은 이야기들이 오갔네요. - 모성과의 유아기적 연결을 포기하고 건강한 내적 성장을 향해 나아가는 것. - 부모를 얗한 오이디푸스 콤프렉스를 극복하고 건강한 이성관계를 맺는 어른으로 성장하는 것. - 고귀한 정신과 동물적 본능 사이, 영적 세계와 땅의 삶 사이를 조율하는 존재로 살아가는 것. 인간이 성장하며 거치는 이런 보편적인 과제들을 한 편의 옛이야기에서 떠올려볼 수 있었습니다. 하루동안 모임에서 나눠주셨던 이야기들을 곰곰히 되짚어보니 이런 질문들이 생기더라구요. - 내가 어린시절 내면에 써내려간 자기연민의 영역은 무엇이고 ..

옛이야기, 꿈 그리고 나의 삶을 연결하며 내면을 밝혀볼 모임벗을 모집합니다. "심층심리학자들은 신화와 옛이야기 속의 환상적 사건들이 어른들의 꿈이나 백일몽과 유사하다는 점을 강조한다...그 매력은 바로 평소에 의식의 표면으로 떠오르지 못하는 심리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_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인류의 지혜를 담아왔고, 인간의 영적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꿈은 내 마음이 머무는 위치와 나아갈 방향을 안내해주는 '내가 나에게 들려주는 옛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요. 심층심리학에서는 옛이야기와 꿈을 우리 내면의 안내자로 여기고 그 상징들을 해석해왔습니다. 모호하고 비상식적이며 합리성과는 거리가 먼 옛이야기와 꿈이 어떻게 우리 삶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이번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