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신찾기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모임
- 여성들의삶
- 내면치유
- 페미니즘책모임
- 꿈해석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주의모임
- 생애돌아보기
- 여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의자아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
- 여성의삶
- 자아찾기
- 원형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공부
- 칼융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신찾기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모임
- 여성들의삶
- 내면치유
- 페미니즘책모임
- 꿈해석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주의모임
- 생애돌아보기
- 여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의자아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
- 여성의삶
- 자아찾기
- 원형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공부
- 칼융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처음 만날 주인공은 재투성이(신데렐라)입니다. 재투성이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먼지 속 왕녀의 소망] [재투성이에게 금지된 곳] [슬픔을 지우는 해방의 춤] 재투성이는 스스로 무언가를 행하기보다는 '발견'되기를 소망한다. 자신이 어떻게 주변으로부터 취급되고 있는가와 관계없이 그의 마음 속에는 스스로의 고귀함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다. 그것을 발견해줄 누군가를 기다리는 것이다. '아버지를 대신할 수 있는 우월하고 현명하고 이해심 많은 남자로부터 깊이 사랑받고 싶은 커다란 갈망'은 '배우자를 찾는 왕자의 무도회'라는, 당시 시대상황으로는 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처음 만날 주인공은 재투성이(신데렐라)입니다. 재투성이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고통 속에 얻는 자긍심] [악한 계모는 누구인가?] 저자는 이 챕터에서 놀라운 이야기를 던진다. 재투성이가 '고통스러운 경건함'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고수하기 위해 주어진 역할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재투성이가 단순히 상황의 피해자가 아니라 상황과 관계를 그 방향으로 만들어가는 주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관점에서만 재투성이 심리의 치유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재투성이는 유년기 감정이 내부에 깊이 뿌리내렸으며 자신이 이를 갈고 닦음으로..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처음 만날 주인공은 재투성이(신데렐라)입니다. 재투성이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들어가는 글] 부분을 읽었다. 오늘 읽은 부분에서 저자는 재투성이가 어떤 주제에 대한 이야기인지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이 이야기로부터 우리가 가져야와할 질문들을 제시한다. 저자는 재투성이를 아래처럼 소개한다. - 환영받지 못하는 잉여의 아이로 성장하는 아이들의 이야기. - 자신의 위대함을 끝내 믿는 인간의 신비에 관한 동화. - (목표지향적 행위와 계산적 처신이 아니라) 참된 자아가 다른 사람 눈에 띄어 확인돠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이야기. 그러면서 재투성이의..

어젯밤 '달빛오두막 1기' 첫모임을 가졌습니다. 옛이야기와 여성, 삶이야기라는 키워드 안에서 8명의 모임벗들이 모였네요. 옛이야기를 전해들으며 어린 시절 느꼈던 충만함, 아기를 낳고 찾게된 옛이야기와의 만남, 여성의 삶이라는 무게에 눌리지 않으려 애쓰던 시기에 옛이야기를 멀리하던 경험까지, 우리가 의식하지 못했지만 옛이야기는 우리 삶에 이미 스며들어와 있었습니다. 옛이야기에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가 숨어있다는 하나의 관점 안에서도 옛이야기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이 존재합니다. 옛이야기의 모티브들을 인류 집단무의식 속의 원형적 상징들로 연결하기도 하고 비슷한 유형의 세계옛이야기들을 모아서 차이점을 비교하며 문화인류학적으로 다가가기도 합니다. 또는 옛이야기가 인류의 정신발달과정 안에서 지금 ..

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하는 시간, [달빛오두막]이 4개월간 옛이야기를 통해 나의 내면을 밝혀볼 모임벗을 모집합니다. "옛이야기를 진실로 이해하려면 옛이야기의 이미지를 통해서 자기 체험을 떠올리고 타인의 삶에서 이와 비슷한 장면을 그려볼 수 있어야 한다." _ 오이겐 드레버만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인류의 지혜를 담아왔고, 인간의 영적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달빛오두막]은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을 중심으로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임입니다. 이번에는 심층심리학적으로 옛이야기를 해석하고 여성 심리를 들여다보는 '어른을 위한 그림 동화 심리 읽기'를 함께 읽고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으로서의 내 이야기를 연결해봅..
꿈의 속삭임 3기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7명의 모임벗들이 총 11주간 일주일에 한번씩 만나 서로의 꿈을 나누며 이야기하였습니다. 꿈에 관한 2권의 책을 읽으며 꿈의 신체적인, 심리적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그룹꿈투사라는 작업을 통해 꿈이 가진 가능성에 다가가보았어요. 한 사람이 자신의 꿈을 나누고, 모임벗들은 그 꿈을 나에게로 가져와 의미를 떠올립니다. 정답도 오답도 없습니다. 오직 지금 나의 느낌만이 꿈의 진정한 의미로 인도하지요. 꿈의 주인도, 꿈을 듣고 이야기나누는 벗들도 내면에 파동이 일렁이는 것을 느낍니다. 이렇게 함께 했던 11주의 시간들을 돌아보니, 우리가 여러 겹의 용기를 통과하며 신비를 경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의식이라는 개념은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무의식에 적극적으로 다가..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 아래, 옛이야기를 함께 읽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보아요. 이번 달까지는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살펴보며 이야기나눕니다. 이번 달 주제는 '가부장제 속 여성의 영적성장'입니다. 아버지의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들이 자기탐색 여정에서 함정에 빠지지 않고 영적성장을 이루는 길은 무엇일까요. '손없는 아가씨' 이야기가 들려주는 조언을 통해 우리 자신을 바라보고, 각자가 삶으로 가져와야할 과제와 여정단계의 의미를 살펴봅니다.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챕터 14장 부분입니다. 책을 읽지 않으셨어도 참여가능합니..

[다른 민족의 동화 세계] - 러시아 동화 / 스위스 그라우뷘덴 동화 ‘다른 민족의 동화세계’부분은 지역의 동화를 민족영혼, 민족의 과제와 연결하여 설명하기 시작하다가 결국은 보편적인 내용으로 흐른다. 지역적 특징과 민족의 역사와 맞물려 지역의 동화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너무 궁금한데 기대한 내용이 나오지 않아 아쉬웠다. 특히나 ‘손 없는 소녀’는 우리나라와 일본에도 있는 이야기인데다가 내용이 너무나도 비슷해서 신비롭기까지 하다. ‘손없는 소녀’의 지역 버전들의 이야기 차이와 그 차이가 갖는 의미들이 무언지 꼭 살펴봐야겠다 . “깨어서 순식간에 미끄러져 지나가는 체험들을 놓치지 않고 그 동화적 광채를 일상의식으로 구출해오는 것이 땅의 개성에게는 당연히 어려운 일이다. 이야기꾼은 자신의 미흡한 정신적 성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