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이야기
- 내면치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의자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신모임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책모임
- 일상학자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찾기
- 원형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주의모임
- 여신
- 꿈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생애돌아보기
- 칼융
- 여성들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삶
- 자아찾기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이야기
- 내면치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의자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신모임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책모임
- 일상학자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찾기
- 원형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주의모임
- 여신
- 꿈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생애돌아보기
- 칼융
- 여성들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삶
- 자아찾기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열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 아래, 옛이야기를 함께 읽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봅니다.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차근차근 살펴보며 이야기나누어요. 이번 달 이야기는 결혼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물개여인'와 '라로로나'입니다. 옛이야기 속의 결혼은 인간의 내면 성장 과정에서 무엇을 상징하고 있을까요? 두 옛이야기로부터 여성들이 가져와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그 의미를 살피며 실제 우리 삶에서 결혼이 어떠한 경험인지 이야기나눠 보겠습니다. - 일시 : 3월 27일(토) 밤 10시 ~ 11시 반 - 참여방법 : Zo..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아홉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를 함께 듣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봅니다.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앞으로 차근차근 다뤄보려고 해요. 이번 달 이야기는 죽음과 사랑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푸른수염'와 '해골여인'입니다. 이 두 이야기로부터 여성들이 가져와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인류의 지혜를 내 삶과 연결해보고 싶으신 분, 페미니즘과 옛이야기의 만남이 궁금하신 분 모두 환영합니다. - 일시 : 2월 27일(토) 밤 10시 ~ 11시 반 - 참여방법 : Zoom으로 온라인 진행 - 참가비 : 1만원 - 모임지기 : 여성의 삶과 글 서가 책방..

🌕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여덟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를 함께 듣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봅니다.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앞으로 차근차근 다뤄보려고 해요. 이번 달 이야기는 어머니와 딸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미운오리새끼'와 '바실리사와 바바야가'입니다. 이 두 이야기로부터 여성들이 가져와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인류의 지혜를 내 삶과 연결해보고 싶으신 분, 페미니즘과 옛이야기의 만남이 궁금하신 분 모두 환영합니다. - 일시 : 1월 30일(토) 밤 10시 ~ 11시 반 - 참여방법 : Zoom으로 온라인 진행 - 참가비 : 1만원 - 모임지기 : 여성의 삶과 글 서..

🌕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일곱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를 함께 듣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봅니다.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인류의 지혜를 담아왔고, 영적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달빛 오두막 모임에서 옛이야기가 21세기의 여성들에게 전하는 메세지를 함께 발견해보아요.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앞으로 차근차근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달 이야기는 '👠빨간구두'와 '🕯성냥팔이 소녀'입니다. 이 두 이야기로부터 여성들이 가져와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인류의 지혜를 내 삶과 연결해보고 싶으신 분, 페미니즘과 옛이야기의 만남이 궁금하신 분 모두 환영합니다. - 일시..

🌕[달빛오두막 11월] 온/오프라인 병행 모임 - 여섯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책읽는 정원에서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이번 달에는 여성심리의 고전인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을 읽고 함께 이야기합니다. 이 책은 여성들의 심장으로 돌진하며 피의 혁명을 일으키는 '위험한 선동서적'입니다. 반드시 '함께' 모여 읽어야 하는 책이죠. 보름달, 늑대, 여성의 아름다운 조합으로 내면의 야성을 깨워보세요. 책은 모임 전후 책방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며 책을 읽지 않으셨어도 참여가능합니다. - 일시 : 11월 28일 토요일 저녁 6시 반 ~ 8시 반 - 참여방법 : Zoom 온라인 참석 / 오프라인 참석 중 선택 - 이달의 책 : - 클라리사 에스테스..

지난 10월 3일, 신화학 박사 고혜경 교수님을 모시고 '옛이야기 속 여성성의 재발견'이라는 온라인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강연은 책읽는 정원의 책모임 [달빛오두막]에서 밸류가든을 통해 서초구양성평등기금의 지원을 받아 마련한 자리였습니다.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인 [달빛오두막]에서는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 아래 이제까지 서양의 옛이야기, 우리 옛이야기 그리고 신화 속 여성들의 여정을 따라가보았습니다.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인류의 지혜를 담아왔고, 영적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며 여성성과 남성성의 가치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젠더 구분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 무의식적 에너지의 여성, 남성 구분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여성성이라는 단어로부터 느끼는..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다섯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보름, 책읽는 정원에서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올해는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에 대한 책을 읽고 나누며, 여성의 삶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 '신화로 읽는 여성성, she'를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성의 원형을 느껴보고 이것이 동서양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달빛오두막]에서 읽어온 책들을 세트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구매링크 : forms.gle/gSH5jsRngrQpPQkx8) 이번에는 '동서양 옛이야기 비교'라는 주제로 '옛이야기 공부법'..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인 [달빛오두막]에서는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 아래 이제까지 서양의 옛이야기, 우리 옛이야기 그리고 신화 속 여성들의 여정을 따라가보았습니다.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을 통과하며 인류의 지혜를 담아왔고, 영적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며 여성성과 남성성의 가치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젠더 구분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 무의식적 에너지의 여성, 남성 구분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여성성이라는 단어로부터 느끼는 편향된 감정때문에 우리가 내면의 힘을 제대로 대면하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요. 책을 읽고 이야기하며 올라왔던 이러한 질문을 붙잡고 저자 강연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옛이야기 속에서 여성성을 재발견하는 작업을 해오신 신화학 박사 고혜경 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