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모임
- 여신
- 원형
- 칼융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찾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내면치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페미니즘
- 여성의자아
- 페미니즘책모임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공부
- 생애돌아보기
- 여성들의삶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심층심리학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꿈해석
- 책모임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모임
- 여신
- 원형
- 칼융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찾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내면치유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페미니즘
- 여성의자아
- 페미니즘책모임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공부
- 생애돌아보기
- 여성들의삶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심층심리학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꿈해석
- 책모임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2023 갈미문화마을 책축제 프로그램 2차 [엄마와 딸 그리고 나] 참가자 모집 나에게 '엄마'는 어떤 사람인가요? 생각하면 힘이 되는 든든한 뿌리인가요? 붙잡고 있을 수도, 떠나보낼 수도 없는 미칠듯한 끈적함인가요? 엄마라는 한 여자의 진실은 내 감정과 어디까지 비슷할까요? 딸에게 엄마는 그저 '따뜻한 밥한술'로 기억되지 않습니다. 밥 뒤의 고됨이 보여서 미안하고 그 고됨을 반복하기 싫어서 멀어집니다. 그리고 다시 뒤돌아보죠. 그 모순된 감정 속에서 딸들은 분열합니다. 그리고 마치 지구와 달처럼, 가장 가깝지만 영원히 서로를 맴돌지요. 이 모임에서는 엄마와 딸인 나의 관계를 바탕으로, 내면의 여성성을 향한 나의 시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모임의 배경책은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하재영/휴..

사통이네의 2023 갈미문화책축제 첫번째 시간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모임 후기 갈미문화마을 책축제 올해의 주제는 '이야기'입니다. 사통이네에서는 '여성들의 삶 이야기'를 신화, 모녀관계, 예술작업과 연결하여 4회에 걸쳐 나눠보려고 해요. 그 첫번째 시간으로 신화 속 여신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의 나의 삶을 바라보는 시간,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가 지난 금요일 오전에 진행되었습니다. 여성의 생식력이 신성시되며 여신이 탄생한 고대 이후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여신 이야기는 조금씩 변해왔습니다. 하지만 변치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시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여신들이 겪은 '삶, 죽음 부활'의 여정은 지금 우리에게도 많은 이야기를 건네줍니다. 여신신화는 여성과 힘이 결합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지만, 여신들은 ..

사통이네의 2022 갈미문화책축제 다섯번째 시간 [사통살롱 2차 : 시, 그림 그리고 이야기] 뜨거운 시적 울림이 느껴지는 그림과 읊조리면 머릿 속에 이미지가 떠오르는 시를 만나보고 그 속의 상징들과 우리의 마음들을 연결해보는 시간, 사통살롱 2차가 비오는 목요일에 진행되었습니다. 예술가들은 시와 그림에서 상징과 은유라는 자신만의 표현법을 통해 꺼내져야 할 마음들을 드러냈습니다. 사무치는 그리움, 찢어지는 고통, 바스라지는 내면, 터질듯한 분노를 시와 그림으로 쏟아내었죠. 그러면서 아련한 애정, 존재를 붙드는 지지에 기대어 나를 세우고 고난 속에서도 내면의 힘을 발견해나갔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마주한 나 자신과 나의 삶을 마침내 찬미하기에 이릅니다. 숨막힐 듯 처절하고 예민한 예술가들의 발걸음을 시와 그..

'[ __ ]하는 새 여자'의 시작을 축하해주시고 응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맛있고 즐거웠던 오픈파티 현장 사진 공유합니다. ^^ '[ __ ]하는 새 여자'는 여성의 삶이 각자의 맥락을 가진 이야기로 펼쳐지는 시간들을 마련하는 여성 서사 이야기 모임 기획단입니다. 삶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를 겸손하게 만듭니다. 도드라지지 않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는 더 그렇지요. 채워지지 않은 빈칸, [__]이라는 무한한 가능성 안에서 새(bird)처럼 자유롭게 과거-현재-미래의 틈새(between)를 잇고 새롭게(new) 거듭나는 여자들의 이야기를 이제 '[__]하는 새 여자'에서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앞으로 예정된 프로그램 일정을 공유합니다. 어느 모임에서든 또 반갑게 만나요! 모든 프로그램은 사통이..
🎈여성 서사 이야기 기획단 '[ _ 하는 ]새 여자'의 [행간, 머물다] 모임에서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 '내 이름은 루시 바튼'을 2주간 함께 읽었습니다. 마지막날 함께 나눈 후기를 올립니다. "너희가 다른 누구보다 더 잘났다는 생각은 절대 하지 마라. 내 교실에서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이곳에서 다른 사람보다 더 잘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루시 바턴의 학창 시절에 헤일리 선생님은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하며 루시 바턴을 조롱하던 아이에게 일침을 가한다. '모두가 같다.' 헤일리 선생님에겐 이것이 존중이고 사랑이었다. 나는 이런 어른을 만나보지 못했다. 선생님들은 항상 네 옆의 아이보다 더 나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는 그 아이들보다 '잘 난' 아이였다. 선생님들은 대 놓고 나를 ..

🎈여성 서사 이야기 기획단 '[ _ 하는 ]새 여자'의 [행간, 머물다] 모임에서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 '무엇이든 가능하다'를 4주간 함께 읽었습니다. 마지막날 함께 나눈 후기를 올립니다. "괜찮다. 토미" 괜찮다는 말을 들으면 답답해질 때가 있다. 내가 괜찮지 않은데 괜찮다고 단정하는 위로의 말을 들을 때. 그런데 ‘괜찮다’는 말에 마음이 녹아내리기도 한다. 앞의 괜찮다는 ‘생각만큼 별 거 아니다.’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뒤의 괜찮다는 ‘거대하게 압도하지만 그래도’의 뜻이다. 하나는 내 고통을 작게 찌부려트리고, 또 다른 하나는 내 고통 주위로 담요를 덮어준다. 사람들은 대부분 괜찮지 않다. 어딘가 어느 시절에 상처받고 그 상처가 아물 때까지 방황한다. 시대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 개..

안녕하세요. [ __ ]하는 새 여자의 고래, 달래, 루꼴라입니다. 봄을 맞아 요즈음 뭔가 새로운 움직임이 꿈틀대는 거, 느끼셨나요? 여성 서사 이야기 모임 [ __ ]하는 새 여자가 한달 전부터 스윽~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새로운 시작을 내딛으며 작은 파티를 준비했습니다. 📍일시 : 4월 28일(금) 12시~13시 📍장소 : 사통이네 도서관(경기도 의왕시 청계로 156, 2층) 별도의 신청없이 해당 시간에 오시면 됩니다. 맛있는 먹거리들과 소소한 즐길거리들을 준비해놓겠습니다. - [ __ ]하는 새 여자가 궁금하다면? 🧐 - 고래, 달래, 루꼴라를 응원하고 싶다면? 🎉 - 금욜 점심 재밌고 맛있게 보내고 싶다면?🥪 - 내가 여자라면?🙋♀️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오셔서 함께 즐겨요~!!!

의왕시 내손동 중심의 문화사업인 갈미문화마을의 책축제 한 꼭지로 의왕시 청계동 사통이네 도서관에서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여신과 나의 연결이 궁금하다면 꼭 만나요~ ^^ 2023 갈미문화마을 책축제 프로그램 1차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참가자 모집 🧝♀️작년에 이어 올해도 사통이네에서 갈미문화마을 책축제가 진행됩니다. 올해의 주제는 '이야기'입니다. 사통이네에서는 '여성들의 삶 이야기'를 신화, 관계, 예술작업과 연결하여 4회에 걸쳐 나눠보려고 해요. 첫번째로 신화 속 여신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의 나의 삶을 바라보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여성으로서 내가 갖는 힘은 무엇이고 겪어야할 어둠은 무엇일까요? 지금 나는 그 사이의 어디쯤 와 있을까요? 신화가 여성에게 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