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페미니즘책모임
- 칼융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꿈해석
- 원형
- 내면치유
- 여성들의책모임
- 생애돌아보기
- 여신모임
- 여성들의삶
- 여신찾기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
- 자아찾기
- 꿈모임
- 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의삶
- 옛이야기와여성
- 옛이야기해석
- 여성주의모임
- 일상학자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의자아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감시하는 초자아, 비난하는 난쟁이] 곰과 헤어진 흰눈이와 빨간 장미는 얼마 후 3번 집을 떠나는데 그 때마다 난쟁이를 만나게 된다. 난쟁이는 이야기 속에서 곰과 대립각을 이루는 캐릭터이다. 난쟁이는 왕자에게 저주를 걸어 곰이 되게 했고 보물도 빼앗았다. 그 저주는 난쟁이가 죽어야 풀리게 되어있다. 저자의 해석처럼 곰이 아이가 경험하는 성적 충동을 상징한다면 난쟁이는 아이의 내면에 어떤 점을 상징하고 있는걸까. 난쟁이는 항상 곤경에..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불안과 분열없는 성장] [내 안의 곰과 만나기] 흰눈이와 빨간장미 이야기는 도입부에 인류 초기의 세계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신화적 분위기를 보이지만 이후의 서사는 동화의 흐름을 이어간다. 저자는 신화와 동화의 차이에 대해 '신화와 달리 동화는 자연속에서 인간의 위치를 지정하려 하지 않는다. 단지 갈등을 느끼는 한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는 법을 배울 수 있는지를 묘사한다.'라고 설명한다. '흰눈이와 빨간장미' 이야기는 이에 대해 신..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어머니 대지의 선한 아이들] '흰눈이와 빨간장미'를 읽고 마음에 남았던 부분 - 어머니는 세상을 신뢰한다. 그 믿음이 가볍지않고 묵직하다. - 흰눈이는 빗장을 걸고, 빨간장미는 문을 연다. - 난쟁이는 과하게 신경질적이다. 흰눈이와 빨간장미 이야기의 도입부는 완벽한 조화로움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어머니는 자애롭고 딸들은 사이좋으며 주변 동물들과 편안하게 교감한다. 심지어 밤에 숲속에서 두 딸이 잠이 들더라도 어머니는 걱정하지 않는..

하얗고 둥근 정월대보름의 달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2월 19일, 달빛오두막 2기 두번째 모임이 열렸습니다. 두번째로 만난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 2권'에서 저자는 백설공주의 해석에 책의 절반 정도를 할애합니다. 그만큼 백설공주 이야기 속에는 여성이 처한 현실과 슬픈 악순환, 이를 극복하고 나가도록 하는 사랑 등 여성의 삶을 반영하는 상징들이 넘쳐납니다. 많은 내용을 차분히 소화하기 위해 우리는 평소보다 조금 긴 5주동안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나의 삶과 백설공주 이야기를 연결해보았습니다. :: 관계의 속에서 만들어지는 모습 심층심리학적으로 옛이야기를 해석한다는 것은 등장인물들간의 관계로부터 실마리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주인공의 일상 배경이 되는 부모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그려..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안에서만 열리는 관] 세상의 황금을 다 준다해도 백설공주의 관을 내줄 수 없다던 난쟁이들은 백설공주를 가장 사랑하는 사람으로 받들고 존중하겠다는 왕자의 약속을 듣고 관을 내어준다. 왕자는 하인들을 시켜 관을 어깨에 메고 가게 하는데, 중간에 덩굴에 걸려 관이 흔들리자 백설공주의 목에서 독사과 조각이 나와 백설공주가 깨어난다. 공주가 죽음같은 삶에서 깨어나 왕자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순간이다. 디즈니는 이 중요한 장면을 왕자의 키스라는 로맨틱한 이..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유리관 속의 공주] 백설공주는 난쟁이들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낯선 이를 계속 집에 들인다. 어릴 때 백설공주를 읽으며 가장 답답한 부분이었다. '낯선 이를 따라가선 안되고, 집에도 들이면 안된다는 것'은 어린 나에게도 적용되는 원칙이었기에 더 어이없어 했던 것 같다. 하지만 그렇게 얻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 제한된 공간의 '결박된 안전'이라면? 숨죽인 채 살아가는 생존(난쟁이)과 위험한 성장(유혹하는 노파) 사이에서 백설공주의 삶은 내적 갈등의 극단에..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남자 사냥꾼 혹은 푸른수염] 백설공주는 사냥꾼에게 간절히 요청하여 죽임을 면하고 숲 속으로 도망친다. 저자는 이 장면을 백설공주가 남성과의 만남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사냥꾼 남자, 칼을 가진 남자, 살인마 남자 같은 '푸른수염'류의 환상은 성적불안을 가진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런 내면의 불안은 어머니로부터 딸로 전해진 것인데, 상징적으로 보면 '바늘에 찔리는 것'에서는 '칼로 살해위협을 당하는 것'으로 고조되었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어머니는 왜 딸이 죽기를 바랄까] [젊음에 대한 치명적인 질투] 놀랍다. 옛이야기를 향한 저자의 해석 곳곳에서 페미니즘이 느껴진다. 옛이야기 안에서 여주인공들이 수동성 안에 갇혀있다며 분노하는 것만이 페미니즘이 아니라는 건 어슴프레 느끼고 있었지만 그렇다면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옛이야기를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이 또 가능한가? 라고 스스로 질문했을 때 또렷한 답이 떠오르진 않았었다. 그런데 저자는 이야기 속 여성 캐릭터들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