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페미니즘모임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삶
- 페미니즘책모임
- 여신모임
- 원형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
- 페미니즘
- 꿈해석
- 여성들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의자아
- 생애돌아보기
- 여신찾기
- 칼융
- 꿈모임
- 일상학자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의삶
- 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내면치유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심층심리학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11월 21일 새여자 북클럽 아홉번째 모임에서는 '아니 에르노의 말'을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이 책은 아니 에르노가 사회학자인 로즈마리 라그라브와 함께 참여한 한 좌담회의 내용을 대화 형식으로 편집한 것으로, 그 좌담회의 제목은 '페미니스트 계급 탈주자들의 경험과 글쓰기'였습니다. 계급 이동 경험을 문학적 글쓰기와 사회학적 연구 안에서 풀어낸 두 여성이 '나 자신의 민속학자'로서 자신을 삶을 해부한 경험을 털어놓는데요,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명확히 드러나면서 자전적 글쓰기에 대해 여러 면에서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 비슷한듯 다른 사회학자와 작가의 자기서사 해부 라그라브와 에르노는 모두 어린 시절을 노르망디에서 보냈습니다. 하지만 지역문화가 두 사람에게 준 영향은 달랐습니다. 에르노는 그 지..

10월 31일 새여자 북클럽 일곱번째 모임에서는 아니 에르노의 '바깥일기'를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제목 그대로 일기이지만 내면의 기록이 아닌 내가 마주한 사람들과 풍경에 대한 기록입니다. 파리로부터 40킬로미터 떨어진 신도시로 이사하게 된 저자는 과거의 기억이 없이 경계선이 불명확한 공간에서 생경한 기분을 느낍니다. 그러면서 그 속의 사람들을 관찰하기 시작하죠. 전철과 쇼핑몰, 거리의 사람들을 바라보고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리고 그 기록을 '바깥일기'라고 명명하고 '집단의 일상을 포착한 수많은 스냅사진을 통해 한 시대의 현실에 가닿으려는 시도'라고 말합니다. 거지들의 각기 다른 구걸 방식이 일으키는 차이를 비교하며 계급성이 만드는 예술적 거리를 느끼고, 전철같은 좁은 공용공간에서 둘..

10월 10일 새여자 북클럽 일곱번째 모임에서는 아니 에르노의 '남자의 자리'를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작가는 아버지를 회상하며 글을 씁니다. 그것은 단지 그가 어떤 사람이었는지에 대한 글이 아니라 아버지로 대변되는 유년의 계급과 지금의 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글이기도 합니다. 아버지는 1, 2차 세계대전 속에서 오로지 살기 위해 애씁니다. 책과 음악은 나의 것이 아니라여기며 '물질적 필요에 굴복하는 삶'을 살아가죠. 그런데 딸은 고등사범학교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해 책의 세상으로 넘어갑니다. 저자는 부르주아 문화 속에서 자신이 건너온 세계를 바라보며 복잡한 감정을 느낍니다. "아버지는 언제나 내가 너무 특권을 누리는 사람으로 보일까 봐, 나를 그렇게까지 공부를 시키는 것이 부..

9월 26일 새여자 북클럽 여섯번째 모임에서는 아니 에르노의 '여자아이 기억'을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1958년 10대 후반의 여자아이로 겪은 일을 지금의 내가 회상합니다. 그리고 50년이 넘는 시간간극만큼이나 다른, 지금의 나와 그 시절의 나를 글쓰기를 통해 하나의 존재로 통합시키는 시도를 합니다. 그것은 단순한 회상이 아닙니다. 아니 에르노는 '그 시대의 시선과 지금 시대의 시선을 모두 담을 수 있길 꿈꾸며' 2014년의 여자와 1958년의 여자아이를 분리합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수군대는 걸 듣는 방식으로, 그걸 듣는 순간 죽고싶은 기분을 느끼게 되는 가장 잔인한 방식'을 선택하지요. "다른 어떤 것보다 더 다루기 어려우면서 더 세세히 떠오르는 수치심에 대한 이 방대한 기억, 요컨대 이 기억은 ..

8월 29일 새여자 북클럽 네번째 모임에서는 '침묵에서 말하기로'를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이제까지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긴 인간의 내면성장의 방향에 여성의 경험이 빠져있음을 지적하고 도덕발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독립과 자율성, 개인화만을 도덕발달로 바라보는 건 남성의 경험만을 토대로 한 것이므로 관계와 연결, 책임을 지향하는 여성의 경험들이 인간에 대한 이해에 통합될 때에 남성과 여성 모두의 내면 이해에 훨씬 도움이 될꺼라고 말하죠. "그가 당면한 위기는 자신의 목소리를 타인의 목소리와 분리하고, 자신의 경험과 자아의식을 대변할 언어를 찾는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 며칠간 청계학교 강연에서 계속 인간과 도덕 주제의 이야기들을 들었눈데요, 자유 속에서 하는 모든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

며칠 전 [한 여자]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장르구분으로는 소설이긴 하지만,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엄마가 돌아가시고 난 후 엄마라는 한 여자에 대해 그의 성장배경 안에서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탐색하며 써내려간 글이다. 여성됨의 여정이 결국 딸이 되는 여정으로 이어지리라 예사아하며, 그 길을 조금이나마 간접적으로 경험해보고자 읽어나갔다. "나는 어머니의 폭력, 애정 과잉, 꾸지람을 성격의 개인적 특색으로 보지 않고 어머니의 개인사, 사회적 신분과 연결해 보려고 한다. 그러한 글쓰기 방식은 내 보기에 진실을 향해 다가서는 것이며, 보다 일반적인 의미의 발견을 통해 개인적 기억의 고독과 어둠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돕는 것이다. 하지만 내 안의 무언가가 뻗대고 있고, 어머니에 대해 순수하게 감정적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