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내면치유
- 엄마와딸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찾기
- 일상학자
- 여성들의이야기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의삶
- 여성주의책모임
- 자아찾기
- 꿈해석
- 책모임
- 꿈모임
- 생애돌아보기
- 원형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공부
- 칼융
- 여신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삶
- 여성의자아
- 심층심리학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내면치유
- 엄마와딸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찾기
- 일상학자
- 여성들의이야기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의삶
- 여성주의책모임
- 자아찾기
- 꿈해석
- 책모임
- 꿈모임
- 생애돌아보기
- 원형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공부
- 칼융
- 여신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삶
- 여성의자아
- 심층심리학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요한복음은...하느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영감을 받은 무의식과 접촉하는 한 인간으로서의 나사렛 예수의 실존을 알려준다." 이 책이 어떤 책인지 알려주는 한 문장. 서문부터 기대된다. [제1장 중심의 창조성: 프롤로그] / 요한복음 1:1-18 29"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 분의 영광을 보았다.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신 아버지의 외아드님으로서 지니신 영광을 보았다." 가톨릭 성서 요한복음 1장 14절에는 육신이라는 단어대신 사람이 쓰였다. 육신이 되셨다는 표현보다는 나에게 더 가깝게 느껴진다. 우리와 같은 취약함 안으로 들어오셨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육'을 죄를 지을 성향이라고 봤을 때도 연결되는 듯 하다. "몸에 대한 성서적 관점은 하느님이 몸과 영혼 모두를 창조..

우리는 상징을 만들고 그것에 계속 반응하면서 살아갑니다. 상징은 우리에게 나를 넘어선 힘을 부여하기도 하고 오히려 내면을 억압하기도 하죠. 여성들에게는 어떨까요. 책방 새와 우물이 '여성과 상징'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의미와 현실의 연결점인 상징이 여성 내면에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인식하고 여성으로서 나의 힘을 새롭게 느껴보세요.첫 번째 회차에서 여성이 엄마에게 포개놓았던 '여성인 나'과 '과거의 나'와 새롭게 마주해보았는데요, 두번째 회차에서는 ‘고대 여신 상징, 온전한 여성성의 이미지와 그 의미’에서는 고대의 여신 원형을 통해 내 안의 여성성의 힘을 새롭게 만나보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여신 상징에 대한 고고학적 설명서인 '여신의 언어'를 번역하셨고 신화와 민담, 꿈 상징 안..

화요일 책모임의 이번 주제는 ’나이듦‘입니다. 3권의 책을 격주로 읽고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하는 ’기울인 몸들 :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라는 전시도 함께 보러갑니다. 회차별 신청 가능합니다.📕1회차 : 6월 24일(화) 오전 10시 / 장 아메리 (완료)📕2회차 : 7월 8일(화) 오전 10시 / 앤 G. 토머스📕3회차 : 7월 13일(일) 오전 10시 / 전시 관람 & 김영옥 책번째 책모임으로 를 통해 사회와 공간 그리고 자기자신으로부터도 소외되는 노화의 과정에 대해 읽어보았습니다. 뇌가 얼얼할 만큼의 팩트폭격이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따로 후기를 남기도록 할께요. 두번째로 함께 읽을 책은 옛이야기로부터 노년 여성의 과업들을 발견하는 앤 G. 토머스의 입니다. "안내자 역할을 해줄 현..

지난 13일 금요일 저녁, '여성과 상징' 첫 프로그램인 '엄마 상징으로부터의 독립과 화해' 강연 잘 마쳤습니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자전문학 전공이신 강초롱 교수님께서 을 중심으로 딸이 엄마의 죽음을 애도하는 방법과 애도의 의미에 대해 강연해주셨어요. 시몬 드 보부아르가 실존주의 관점으로 인간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는가부터 시작해서 타인과의 관계성으로부터 자기기만의 딜레마를 안고 사는 인간의 본질적 문제, 그 연결선 상에서 보부아르가 엄마를 바라보던 관점과 엄마를 이 세상에 언어화함으로써 연민에서 상생으로 나아가는 여정까지 들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친밀한 관계이기에 엄마를 애도하는 딸은 인간 실존에 대한 문제에 정면으로 부딪힐 수 밖에 없는 거더라구요. 엄마를 애도하는 것은 딸이 엄마에게 포개어놓은 ..

[새와 우물 화요일 책모임 : 나이듦에 대하여]첫번째 모임 : 책모임화요일 책모임에서는 주제별로 책을 선정하여 읽습니다. 지금까지 '세월호' '어린이날' '엄마의 죽음'에 대한 주제로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주제는 때로는 시기에 맞춰 기획되고 때로는 이렇게 주제가 주제를 초대하기도 하네요. '엄마의 죽음'을 바라보다 '나이듦'이라는 주제로 이어가게 되었어요. 엄마의 죽음 앞에서 내면의 독립을 이야기하다보니 늙음과 그로 인한 몸의 취약함은 꼭 거칠 수 밖에 없는 주제더라구요. 이번에는 3권의 책을 격주로 읽고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하는 '기울인 몸들 :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라는 전시도 함께 보러갑니다. - 1회차 : 6월 24일(화) 오전 10시 / 장 아메리 - 2회차 : 7월 8일(화) 오전 1..

오늘 [엄마와 딸의 애도서사] 마지막 모임으로 아니 에르노의 를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이 모임에서 , 그리고 까지 총 3권의 책을 읽었는데요, 회차에 이어갈수록 읽는 책들 속에서 점차적으로 저자가 엄마와 감정적 거리를 두며 엄마라는 한 인물에 다가서기 위한 노력이 더해지더라구요. 하지만 우리가 발견한 것은 '거리두기 자전소설'의 대가인 아니 에르노조차 엄마와의 거리두기는 실패했다는 것이었죠. 그만큼 엄마와 딸은 둘 모두에게 '자신의 확장'으로 서로에게 긴밀하게 유착된 사이인 듯 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보다 엄마와 딸의 심리적 합일이 견고한 이유는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되고 뒤틀린 시선 속에서 서로에 대해 복잡한 감정으로 얽히기 때문이겠지요. 아니 에르노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글을 비교하며 읽으니 엄..

엄마와 딸의 애도서사 책읽기 모임 두번째 책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아주 편안한 죽음]이었습니다. 앞의 문장에서 '두번째 책은'과 '시몬 드 보부아르' 사이에 이 책에 대해 설명하는 짧은 구절들을 썼다 지웠다 반복하다가 '시몬 드 보부아르'만 남겨둡니다. 그만큼 이 책은 보부아르이기에 가능한 인식의 기록입니다. 낙상 골절로 입원했던 엄마는 알고보니 암이었습니다. 이후 치유의 희망이 없는 상태에서 생명 연장을 위한 고통스러운 치료들이 이어집니다. 딸들은 의료진에게 "엄마를 고통스럽게 하지 말라."고 호소하지만 의사들은 '해야하는 일을 할' 뿐이었죠. 고통뿐인 삶이 왜 이어져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이전 회차에서 함께 읽었던 [오늘이 내일이면 좋겠다]의 주제랑 이어지지만,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자답게 ..

우리는 상징을 만들고 그것에 계속 반응하면서 살아갑니다. 상징은 우리에게 나를 넘어선 힘을 부여하기도 하고 오히려 내면을 억압하기도 하죠. 여성들에게는 어떨까요. 책방 새와 우물이 '여성과 상징'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의미와 현실의 연결점인 상징이 여성 내면에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인식하고 여성으로서 나의 힘을 새롭게 느껴보세요.첫번째 시간은 ‘엄마 상징으로부터의 독립과 화해’를 다룹니다. 여성이 엄마와의 관계로부터 내면에 설정한 정체성을 ‘엄마의 죽음’을 통해 살피는 글들을 통해 내 안의 가치체계를 돌아보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아주 편안한 죽음], 아니 에르노의 [한 여자]를 중심으로 애도서사를 연구하신 강초롱 교수님을 모시고 엄마에 대한 애도작업의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