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옛이야기와여성
- 꿈해석
- 여성들의공부
- 일상학자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생애돌아보기
- 내면치유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모임
- 페미니즘
- 심층심리학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신찾기
- 꿈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신모임
- 페미니즘책모임
- 칼융
- 여성들의삶
- 옛이야기해석
- 여성의자아
- 여신
- 원형
- 여성주의모임
- 여성의삶
- 책모임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GE6y/btquPMrUzGq/a8Srs01KBhv7USH8Jr0bwk/img.jpg)
마지막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7~8장을 읽고 존재모임을 마무리하면서 3권의 책이 우리에게 건넸던 이야기를 다시 한 번 떠올려보고 우리 안에 드는 생각, 질문들을 나누었습니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나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이 민주주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나 자신으로 살기 위해서는 우선 내가 누구인지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자신이 누구인지 온전히 경험하고 말할 수 있는 장소, 즉 내면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고요하고 고독한 공간과 자기 이야기를 밖으로 꺼내놓을 수 있는 낯선 사람들과의 안전한 작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각자가 생각하는 '나의 안전한 공간'은 어디인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TvKY/btquGEUFcYw/ZKQGcMsv1LnEl3YUfQW4Z0/img.jpg)
열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5~6장을 함께 읽고 낯선 이들과 함께 하는 삶의 의미와 그런 '공적인 삶'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저자는 활력있는 공적인 삶은 민주주의의 열쇠라고 이야기하면서 공적영역을 통해서만이 정치와 자본의 권력으로부터 사적인 삶도 보호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공적인 삶은 무엇이고, 낯선 사람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걸까요? 우리 안에서도 이에 대한 기준은 달랐습니다. 내가 선택한 작은 모임들을 공적인 삶으로 보시는 분이 있는가 하면 나의 개인적인 욕구보다 큰 의미를 향한 활동을 공적인 삶으로 여기시는 분도 계셨습니다. 저자는 공적인 삶을 낯선 사람들이 서로 자유롭게 섞이면서 사회적, 정치적 연합의 유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6hcg/btquuIbY96x/v5MizUflp5OiZaYusIDZ90/img.jpg)
아홉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3~4장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자는 현실과 당위 사이의 간극을 품고 견디는 이들을 비통한 자들로 지칭하며 그들을 향해(우리이기도 하지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1, 2장에서는 마음이 부서진, 비통한 상태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그리고 그 마음이 어떠한 숨은 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3, 4장에서는 긴장의 의미와 긴장을 끌어안는다는 것의 가치 그리고 그 가치를 구현하게 해주는 틀로서의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비통함이라는 마음의 긴장은 그 상태를 벗어나고 싶다는 강한 욕구를 동반합니다. 그것이 평온이나 행복같은 긍정적인 에너지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자주 빠른 해결책을 선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lUjc/btqt26r51zW/L4hXBRj1ctMhDCmybGwHj0/img.jpg)
여덟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부터 우리는 모임의 마지막 책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앞서 함께 읽었던 두 권의 책들과 결이 많이 다릅니다. '이상한 정상가족'과 '아픔이 길이 되려면'이 사회현상과 구체적인 사례들, 각종 통계치로 개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제도와 시스템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면 '비통한~'은 우리 자신에게로 눈을 돌려서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가 공동체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마음'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우리가 별 고민없이 써왔던 많은 단어들을 다시 정의내리는데 그 중에서도 '민주주의'와 '마음'은 여러 번 중요하게 언급됩니다. 이제까지 우리는 민주주의는 국민으로부터 권력이 행사되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