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주의모임
- 페미니즘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내면치유
- 여신찾기
- 꿈해석
- 칼융
- 여성들의공부
- 여신모임
- 자아찾기
- 여성들의이야기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옛이야기해석
- 원형
- 여성주의책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삶
- 여신
- 여성의자아
- 심층심리학
- 생애돌아보기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의삶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남자 사냥꾼 혹은 푸른수염] 백설공주는 사냥꾼에게 간절히 요청하여 죽임을 면하고 숲 속으로 도망친다. 저자는 이 장면을 백설공주가 남성과의 만남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사냥꾼 남자, 칼을 가진 남자, 살인마 남자 같은 '푸른수염'류의 환상은 성적불안을 가진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런 내면의 불안은 어머니로부터 딸로 전해진 것인데, 상징적으로 보면 '바늘에 찔리는 것'에서는 '칼로 살해위협을 당하는 것'으로 고조되었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어머니는 왜 딸이 죽기를 바랄까] [젊음에 대한 치명적인 질투] 놀랍다. 옛이야기를 향한 저자의 해석 곳곳에서 페미니즘이 느껴진다. 옛이야기 안에서 여주인공들이 수동성 안에 갇혀있다며 분노하는 것만이 페미니즘이 아니라는 건 어슴프레 느끼고 있었지만 그렇다면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옛이야기를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이 또 가능한가? 라고 스스로 질문했을 때 또렷한 답이 떠오르진 않았었다. 그런데 저자는 이야기 속 여성 캐릭터들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를..

새해 시작과 함께 달빛오두막 2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 2'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의 삶과 우리들의 삶의 이야기를 연결해보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만난 이야기 주인공은 '손없는 소녀'였습니다. :: 의지와 주체성의 세상에서 손이 잘리다 소녀가 처음부터 손이 없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가난을 극복하려 아버지는 악마와 거래를 하고 딸의 손을 자릅니다. 다행히 악마가 소녀를 데려가는데는 실패하지만 소녀는 손없는 채로 세상을 살아가게 됩니다. 손이 잘린다는 것은 참으로 강렬한 모티브입니다. 상상만으로도 마음이 덜컹 내려앉지요. '내 손으로 일군', ' 내 손으로 직접' 이라는 표현들에서도 보이듯이 손은 주체성의 상징과 같은 신체부분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인간을 다른 존재들과 다..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다섯번째 주인공은 손없는 소녀입니다. 손없는 소녀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이며, 2022년 5월경 3기를 모집합니다. [비로소 진정한 왕비가 되다] 소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살 수 있는' 집에서 하느님의 은총으로 손이 다시 생겨났다. 이제 소녀는 다른 이에 의해 욕구가 잘리거나 오히려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움켜쥘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야기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소녀와 아이는 왕을 만나야 한다. 이것은 소녀가 진정 '자유로워지기' 위해서 거쳐야하는 마지막 관문이다. 소녀의 아이 이름은 '아픔의..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다섯번째 주인공은 손없는 소녀입니다. 손없는 소녀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이며, 2022년 5월경 3기를 모집합니다. [자기 존재를 찾아나서다] '손없는 소녀' 이야기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은 두 손이 잘린 소녀가 아버지가 약속하는 편안한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홀로 길을 떠나는 장면이다. 많은 이들이 이를 소녀의 주체적 행동으로 바라보지만 저자는 이 해석에 확실히 선을 긋는다. 소녀가 길을 떠나는 것은 참된 의미에서 삶을 찾아 떠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소녀가 길을 떠날 수 있는 것은 '환상에 가까운 희망'이 있기..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네번째 주인공은 영리한 엘제입니다. 영리한 엘제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1기가 진행중이며, 2021년 12월경 2기를 모집합니다. [내면은 보지 못하는 남편] 영리한 엘제의 남편은 엘제와 가족들의 '지하실 안 기행'을 보고도 "집안일을 하는데 이 정도 영리하면 될 것이오."라며 엘제와의 결혼을 결정한다. 영리한 엘제가 '정말 영리해야' 결혼하겠다고 엄포를 놓던 것치고는 김빠지는 일이었다. 도대체 어떤 부분에서 엘제가 정말 영리하다고 느꼈을까 궁금했는데 저자는 남편 한스의 내면을 분석하며 이를 해석한다. 한스는 진실을 보지 못한다. 눈 ..

추석을 앞두고 어느 때보다 밝은 달이 떠오른 9월 18일, 가시장미 공주(잠자는 숲속의 공주)와의 한달을 갈무리하는 달빛오두막 모임이 열렸습니다. 가시장미 공주는 불운의 뿌리에서 구원의 길로 나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자신의 선택이 아닌, 주어진 운명적 저주를 풀어내고 극복하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죠.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의 저자는 메인 스토리 뒤에 가려진 인물들의 서사를 섬세하게 드러내어 그들이 짜낸 운명을 풀어냅니다. 어쩔 수 없이 휩쓸린 운명의 파도에서 그들이 감당해야 할 것은 무엇이고 변화를 위해 애쓰고 나아가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 부모가 자식에게 건네는 심리적 운명 미성숙한 두 사람이 만나 아이를 낳습니다. 왕비는 어린시절을 저당잡힌 채 갑작스럽게 아내이자 엄마가 되어야했습니다. ..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처음 만날 주인공은 재투성이(신데렐라)입니다. 재투성이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들어가는 글] 부분을 읽었다. 오늘 읽은 부분에서 저자는 재투성이가 어떤 주제에 대한 이야기인지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이 이야기로부터 우리가 가져야와할 질문들을 제시한다. 저자는 재투성이를 아래처럼 소개한다. - 환영받지 못하는 잉여의 아이로 성장하는 아이들의 이야기. - 자신의 위대함을 끝내 믿는 인간의 신비에 관한 동화. - (목표지향적 행위와 계산적 처신이 아니라) 참된 자아가 다른 사람 눈에 띄어 확인돠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이야기. 그러면서 재투성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