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들의삶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의삶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자아찾기
- 여성주의모임
- 여신
- 생애돌아보기
- 내면치유
- 심층심리학
- 페미니즘
- 꿈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일상학자
- 여신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의자아
- 여성주의책모임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책모임
- 꿈해석
- 여성들의공부
- 여신찾기
- 원형
- 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칼융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세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이상한 정상가족'을 마무리하면서 우리사회의 배타적 가족주의를 극복하고 더 나은 '함께 살기'로 나아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저자는 체벌금지법을 최로로 법제화한 스웨덴의 예를 들면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합니다. 스웨덴은 1950년대만 해도 체벌이 법으로 허용되었지만 긴 사회적 논의를 거쳐 1979년 모든 체벌을 법으로 전면 금지하게 됩니다. 유엔아동권리협학이 발효되기 10년 전에 이미 이러한 제도가 마련되었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더 인상적이었던 것은 법제화 이후 이를 알리기 위한 스웨덴 정부의 노력이었습니다. 우유병에 체벌금지법에 대해 알리는 스티커를 붙이고 아동병원과 산부인과를 통해서도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여갑니다. 또한 체벌 대신 아이를 훈..
두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주에 우리는 '이상한 정상가족' 2~3장을 읽고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어떻게 차가운 경계로 작용하는지 미혼모, 입양, 다문화 가정을 통해서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한 개인이 인생의 여러 갈래에서 선택을 할 때 그것은 한 사람의 '마음의 결단' 이상의 의미입니다. 우리는 내 마음과 달리 주변에서 몰아치는 파도에 휩쓸려 선택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 파도에도 '불구하고' 다른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미혼모들은 결혼제도 밖의 성적 일탈자로 손가락질 받아왔습니다. 아기를 갖게 된 상황에 대한 선택을 지탄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들이 아기를 책임지기로 결정한 선택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습니다. 그 선택이 무수한 파도와 장벽에도 '불구하고' 내려진 용기있는 결단이었음에도 말이지..
첫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달에는 3주동안 '이상한 정상가족'을 읽으며 함께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당연시하고 있는 가족의 모습들을 여러 시점으로 되짚어 보게 되는데요 이번 주에는 가족 안에서 어린이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가족은 가장 가깝고 그래서 가장 많이 상처입고 입히는 관계이죠. 특히나 아이와의 관계는 필터없는 날 것의 모습으로 드러날 때가 많습니다. 돌보는 어른과 돌봄의 대상이라는 기울어진 힘의 관계는 건강한 의식이 개입할 여지를 주지 않을 때가 많지요.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훈육이라는 이름으로 체벌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곤 합니다. 인권이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 떠오른 이후 훈육, 체벌, 학대의 경계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되어 왔습니다. 지구촌 여기저기에서도 이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