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아찾기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페미니즘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내면치유
- 여성주의모임
- 페미니즘
- 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의자아
- 여성의삶
- 여성주의책모임
- 일상학자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이야기
- 여신모임
- 생애돌아보기
- 칼융
- 꿈모임
- 여신찾기
- 원형
- 여성들의삶
- 페미니즘책모임
- 여신
- 꿈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옛이야기해석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내 안의 여신찾기] 6기를 모집합니다. [내 안의 여신찾기] 모임은 두 권의 책을 읽고 생애주기별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내면의 힘을 발견해가는 모임입니다. 여성의 삶에서 겪게 되는 신체적 변화와 질병을 삶과 연결하고 그리스 여신의 원형에 나를 대입해보면서 내면의 균형을 위해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 찾아갑니다. 🦋나를 밀고 당기는 보이지 않는 힘을 걷어내고 내가 진짜 바라는 삶과 가려져 있던 내면의 힘을 찾아가 보아요. 함께 책을 읽고 이야기하는 따뜻한 공감의 여정으로 초대합니다. 🦋 모임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모임의 형식을 뛰어넘는 공감의 숨결을 함께 해요! '여신모임'이 궁금하셨지만 거리가 멀어 참여하지 못하셨던 분들과 닿을 수 있길 기회이길 바랍니다. 🦋여성의 치유와 자아발견은 '함께' 할..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을 기획하고 진행합니다. 여성들이 함께 책을 읽고, 말하고, 공부하는 모임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 모임을 공지하고 진행한 모임후기를 올립니다. 모든 개인은 각자의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할 존재라는 믿음으로, 판단을 넘어서 삶의 이야기를 나누는 경험을 갖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몸, 관계, 책, 꿈, 게임 등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별로 삶을 돌아보면서, 여성들이 '자신만의 서사를 가진 개인'으로 스스로를 발견해가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기획하고 진행한 모임들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내 안의 여신찾기]3개월 과정으로 진행되는 모임은 두 권의 여성주의 책을 읽고 생애주기별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내면의 힘을 발견해가는 모임입니다. 여성의 삶에서 겪게 되는 신체적..

[내 안의 여신찾기] 12주간의 여정이 마무리되었습니다. 3개월동안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두 권의 책을 함께 읽고 삶을 되돌아보았어요. 특히나 여성정체성 안에서 나를 바라보면서 사회가 나를 여성으로 구분지으며 주었던 영향들, 여성의 몸으로 겪어야했던 생애주기들이 나에게 남긴 것들과 집단무의식 안의 여성성 원형으로부터 받은 추동과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저자의 목소리는 새로운 관점을 우리에게 선물했습니다. 몸의 통증과 질병, 감정과 욕구 등 나를 통해 드러나는 모든 것들을 나를 향한 메세지로 살펴보게 되었어요.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바깥의 소리가 너무나도 커서 우리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을 기울인 적이 없었습니다. 우리를 인도하던 것은 부모님의 목소리이..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마지막 부분에는 의학적 치료, 식이요법, 운동 등 건강에 대한 저자의 실제적인 조언들이 이어집니다. '몸의 건강'을 말할 때 보통 많이 언급되는 부분이지요. 물론 저자의 조언은 아침건강 프로그램의 정보와는 다릅니다. 모두에게 절대적인 방법이란 것은 없으며 내가 택한 것이 진정 '나의 선택'인지에 대해 질문합니다. "치유의 방법은 많다, 당신에게 적절한 방법은 그 시점에 당신에게 가장 합당하다고 느껴지는 방법이다...궁극적으로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건강법과 내면의 인도가 일치해야만 한다." 몸이 아플 때 우리는 여러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편안하게 쉬면서 회복되길 기다릴 수도 있고, 대체요법들을 사용해볼 수도 있고, 의사를 만나러 갈 수도 있지요. 문제는 그것이 내면의 인도에 ..

일곱번째 모임에서는 '치유를 위한 단계별 접근'을 읽고 우리 안의 이야기들로 좀 더 깊게 들어가 보았습니다. 저자는 온전한 치유를 위한 12단계를 제안합니다. 자신의 믿음체계와 삶의 방식을 점검하고 내면의 인도자에 연결될 것을 강조하지요. 또한 그러기 위해선 감정에 솔직하게 머물고 몸의 메세지를 들으며 풀어내야 할 삶의 지점에 머물러야 한다고 말합니다. 모임 안에서 우리는 몸과 마음, 과거의 경험을 살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 과정을 거치며 우리가 머물게 된 '매듭의 지점'이 어디인지 마음 속에 떠오르는 키워드들로 실마리를 잡아보았어요. 각기 다른 키워드들이었지만 공통된 부분이 있었습니다. 모두 '진실된 마주함'이라는 관계와 관련된 것이었죠. 관계로부터 거리를 두고 나를 바라보는데 집중하기도 하고, 과..

여섯번째 모임에서는 모성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엄마됨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했고 어떤 변화로 이끌고 있을까요.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모성은 진정 우리의 것이 맞을까요. 출산 이후부터 아이와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태아와 엄마는 한 몸을 공유하는 두 영혼으로, 관계보다 긴밀한 '결합'상태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고 육체가 분리되면서 둘은 '관계'로써 분명하게 감각되기 시작하지요. 하지만 이 관계에는 당사자 둘이 아니라 수많은 다른 힘들이 복잡하게 얽혀 들어갑니다. 엄마로서 경험한 느낌과 생각들을 이야기하다보니 사회문화적인 분위기와 내 안의 양육유산이 우리의 엄마됨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중독된 사회구조에서 어머니 노릇을 한다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

세번째 모임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우리의 신체 기관들의 부분 부분에 집중하며 해당 기관과 연관된 경험과 건강상태들을 통해 우리 삶을 돌아봅니다.이번 모임에서는 월경과 월경기관인 자궁, 난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자는 월경을 여성적인 힘의 원천으로 바라보고 이에 담긴 지혜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에게 월경은 어떤 의미이고 경험일까요. 한 달에 한 번씩 일어나는 몸의 현상이 우리에게 어떻게 여겨지고 있는지 월경을 대하는 나의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나누었어요. 모임벗들의 초경의 기억은 가볍고, 자연스러웠습니다. 특별한 축하나 의식이 있지 않았지만 '올 게 왔다'는 분위기에서 월경이 여성 삶의 일부라는 것을 담담히 받아들였고 친구나 자매가 주는 살뜰한 보살핌과 긍정적인 시선에 ..

[내 안의 여신찾기] 두번째 모임에서는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3~4장을 함께 읽고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이전 시간에 이제까지 나의 행동, 사고를 지배했던 중독된 삶의 관점을 돌아보았다면 이번 장에서는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차원의 지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어요. 저자는 몸, 질병, 세상을 바라보는 삐뚫어진 중독 상황을 자각하라고 외치며 다른 차원의 접근을 제안합니다. 그것은 스스로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으로, 저자는 이를 '내면의 인도자'라고 이름붙였어요. 그리고 내면의 인도자에 닿는 방법으로는 감정에 솔직해지기, 꿈의 메세지를 들여다보기, 그리고 몸의 상태를 통해 삶을 돌아보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감정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굉장히 다양했습니다. 쉽게 해결이 될 것 같으면 감정을 들여다보지만 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