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여성의삶
- 책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자아
- 여신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삶
- 일상학자
- 심층심리학
- 생애돌아보기
- 꿈해석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
- 원형
- 내면치유
- 자아찾기
- 여성주의모임
- 칼융
- 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
- 꿈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찾기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공부
- 옛이야기와여성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3월 19일 달빛오두막 세번째 모임이 열렸습니다. 모임벗들에게도 코로나 쓰나미가 닥쳐서 미뤄진 일정상, 그리고 컨디션상 참석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았어요. 다음 번 모임에는 모두 건강히 얼굴뵐 수 있길 바랍니다. 세번째 만나본 옛이야기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이제까지 살펴본 이야기들처럼 '흰눈이와 빨간장미'도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다른 주인공들처럼 쫓기거나 갇히거나 잠에 빠져들지 않지요. 평온하고 안전한 환경 속에서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자라납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는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여정을 여러 상징을 사용하여 아름답게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 불안을 모른 채 유기적으로 성장하다 숲속오두막에서 흰눈이와 빨간장미가 어머니와 함께 평화롭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털가죽을 벗는 왕자] 흰눈이와 빨간장미는 도시에서 돌아오는 길에 자루에서 보석을 풀고 있는 난쟁이를 만난다. 그 보석은 난쟁이가 왕자에게서 빼앗은 것이다. 소녀들은 보석에 매혹되어 눈을 떼지 못하는데 이 때 곰이 나타나 난쟁이를 발로 차 쓰러뜨리고 저주에서 풀려 황금 옷을 입은 왕자로 되돌아온다. 어린시절의 양심(난쟁이)을 물리친 후에 성적충동의 에너지(곰)가 인간적 사랑(왕자)으로 거듭나는 장면을 이야기는 이처럼 강렬한 이미지를..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감시하는 초자아, 비난하는 난쟁이] 곰과 헤어진 흰눈이와 빨간 장미는 얼마 후 3번 집을 떠나는데 그 때마다 난쟁이를 만나게 된다. 난쟁이는 이야기 속에서 곰과 대립각을 이루는 캐릭터이다. 난쟁이는 왕자에게 저주를 걸어 곰이 되게 했고 보물도 빼앗았다. 그 저주는 난쟁이가 죽어야 풀리게 되어있다. 저자의 해석처럼 곰이 아이가 경험하는 성적 충동을 상징한다면 난쟁이는 아이의 내면에 어떤 점을 상징하고 있는걸까. 난쟁이는 항상 곤경에..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세번째 주인공은 라푼첼입니다. 라푼첼과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마녀와 왕자, 둘로 나뉜 세계] 라푼첼의 구원에 관한 저자의 해석을 읽으며 아슬아슬한 벼랑 옆을 걷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구원 작업은 몇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한걸음만 잘못 내딛어도 자기멸시와 죄책감의 낭떠러지로 떨어지게 된다. 1. 라푼첼의 언어를 이해하라. 라푼첼의 구원은 매우 힘든 과정을 거친다. 그것은 '라푼첼이라는 나라의 언어'를 익혀야 가능하다. 그래야 표현 이면의 진실을 찾아내어,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다. 우선 탑에서 부르는 라푼첼의 노래를 들으며 아름..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세번째 주인공은 라푼첼입니다. 라푼첼과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라푼첼의 탑, 백설공주의 관] 라푼첼은 12살이 되자 탑에 갇힌다. 작은 창문으로 마녀의 집을 내다보는 어머니의 집과 작은 창문을 통해서만 외부와 연결된 라푼첼의 탑은 같은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어머니는 딸이 여자로 깨어나는데 불안을 느끼고 자신이 살아온 것과 똑같이 딸에게 반응한다. 어머니는 '자기만의 아이'인 딸에게 깊이 뿌리를 내린다. 저자가 라푼첼을 백설공주와 비교하여 해석하는 부분이 무척 흥미로웠다. 두 이야기는 어머니와 딸의 극적 갈등을 주제로 한다는 점에서 비..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두번째로 만날 주인공은 가시장미 공주(잠자는 숲 속의 공주)입니다. 가시장미 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나르시시즘적 부성애의 비극] "왕은 모든 것이 자기에게 속하기를 원하지만 정작 자신은 자기에게 속하지 않고 자기를 존중하지 않고 자기 말을 듣지 않는다." 가시장미 공주의 아버지인 왕은 왕비와 비슷하게 아버지 역할 안에서만 인정받는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딸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규정한다. 그것은 명예욕에 담긴 자기중심적인 태도이다. 딸의 생일잔치를 성대히 준비하며 12개의 황금접시라는 형식 안에 메이는 것이 이 점을 보여준다. 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