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꿈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공부
- 원형
- 칼융
- 일상학자
- 옛이야기와여성
- 심층심리학
- 생애돌아보기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삶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의삶
- 옛이야기해석
- 여신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내면치유
- 여신찾기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꿈해석
- 페미니즘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신모임
- 꿈모임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공부
- 원형
- 칼융
- 일상학자
- 옛이야기와여성
- 심층심리학
- 생애돌아보기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삶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의삶
- 옛이야기해석
- 여신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내면치유
- 여신찾기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꿈해석
- 페미니즘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여섯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엄마'라는 역할 속에서 우리 자신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돌아보았습니다. 내가 되고자 했던 '엄마의 모습'과 현실 속의 내가 너무 달라 괴롭기도 했고, 아이를 낳기 전에는 구체적인 엄마상이 없다가 주어지는 역할과 기대 속에서 '과연 이게 맞는걸까?'의문이 들기도 했지요. 또 친정엄마에게 내가 당연하다 여기는 엄마상을 강요하기도 하고 다른 엄마들을 그 기준에 따라 판단하기도 했습니다. 획일적인 모성에서 벗어나 자기돌봄의 모성으로 '모성'이 본성인지 사회적 학습의 산물인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요즈음만큼 '획일적인 모성'이 강요되는 시대도 없었다는 점입니다. 과거에 '여성'에게 주어지는 분명한 성역할은 존재했지만 그 안에 '엄..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 크리스티안 노스럽 지음, 강현주 옮김/한문화 여섯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모성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어요. 엄마로서의 삶에 대해 지금 우리가 느끼고 있는 감정과 엄마노릇 중 가장 참을 수 없는 지점들을 이야기하면서 그러한 것들이 모성애에 대한 외부의 시선이나 내 삶의 경험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감정적 상태에 대한 우리의 '감정'들 우리는 아이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을 수용해주기가 어려웠습니다. 감정을 배제한 이성적인 소통에 대한 욕구때문에 아이가 어서 크길 바라기도 했죠. 장소나 상황에 상관없이 떼를 쓰며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는 모습을 볼 때면 분노가 치밀어오르기도 했습니다. 아이들이 징징거리는 소리는 인간에게 가장 스트레스..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 크리스티안 노스럽 지음, 강현주 옮김/한문화 다섯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모임에서 우리는 생식력에 대해 가졌던 나의 태도들을 돌아보고 임신과 출산이라는 생식력 경험을 어떻게 거쳐왔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생식력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였나 생식력은 인생의 주기에 따라 우리에게 다양한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그것은 놀라운 창조능력으로 여겨져 때로 자부심을 주기도 했지만 오랜시간 우리 인생을 돌이킬 수 없는 곳으로 이끌고가는 덫이나 함정으로 여겨지기도 했고 주변으로부터 임신출산이 기대되고 인정되었던 시기에는 내 몸이 수행해야 마땅할 능력이기도 했습니다. 저자는 생식력에 대해 새로운 언어로 정의내릴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생식력의 가능여부와 관계없이 여성으로서의 근원적..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 크리스티안 노스럽 지음, 강현주 옮김/한문화 주말 편안히 잘 보내고 계신가요? 지난 목요일에 첫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먼저 자기자신을 은유로 소개하며 나의 외부조건들을 제거한 채 스스로를 바라보는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몸과 질병을 바라보는 우리의 믿음체계를 살펴보고 '여성'으로서의 내가 나에게 어떤 의미이고 어떤 감정을 전하는지 이야기해 보았어요. 이야기하다보니 '여성성'이라는게 무얼까 하는 질문이 올라왔다고도 하셨지요. 이 모임에서 우리가 앞으로 해나갈 작업들이 이런 질문과정 안에 있을 꺼란 생각이 들어요. 나를 설명하고 구성하는 단어들을 나의 언어로 다시 정의내리면서 우리 스스로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을 듯 합니다. 항상 삶을 설명해야하는 여성들. 구불구불 꼬인 미..
새 봄을 맞아 냇물에서 '여신찾기'가 다시 시작됩니다.책읽기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내 안의 여신을 찾아보아요! 인생의 주기를 거치며 누구나 한번쯤 '나'를 잃어버린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시험이나 취업에 연거푸 떨어지면서 자신감이 낮아졌을 때,시키는 일만 반복적으로 하면서 내가 조직의 부속품처럼 느껴질 때,아이를 돌보며 내 욕구는 뒷전이 되는 나날들이 반복될 때,자식들이 떠나고 내 삶이 온전히 나만의 것으로 눈 앞에 드러났을 때... 이럴 때 우리는 '내가 누구였는지, 내가 바랬던 나의 삶은 뭐였는지' 다시 돌아볼 필요를 느끼지요.심리학 서적들은 내 마음의 문제라고 하고,자기계발서들은 성공사례들을 들이밀며 모험을 감행하라고 내 등을 자꾸 떠밀지만먼지처럼 흩날리는 나를 부여잡는 것만으로 지금 혼란스러울 ..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 크리스티안 노스럽 지음, 강현주 옮김/한문화 일곱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원래 모성애와 폐경기, 치유를 위한 단계별 접근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했으나, '모성애' 주제 하나만으로도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렸네요. 우리를 억압하는 모성신화가 실제 엄마노릇의 고단함으로 이어지고, 엄마가 되면서 느낀 격한 감정의 소용돌이가 친정엄마에 대한 원망으로 이어졌던 이야기를 나누며 우리는 모성애에 대해 조금 다른 생각을 시작해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에게 엄마란... 우리는 아이를 낳고 친정엄마에 대해 다양한 감정을 경험했습니다. 육아를 통해 신체적, 감정적 한계를 겪으면서 그 때의 엄마도 매우 힘들었겠구나 연민이 들기도 하고, 지금의 우리 나이이거나 오히려 어렸던 엄마였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