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내 안의 여신찾기

[일상학자 2기] 윤주애 연구계획서 : 여성 내면의 힘, 여성성을 찾아서 본문

여성들의 함께 공부하기/공부 프로젝트, 일상학자

[일상학자 2기] 윤주애 연구계획서 : 여성 내면의 힘, 여성성을 찾아서

고래의노래 2021. 11. 16. 23:10

* [일상학자]는 각자 지금 집중하고 있는 주제의 '학자'가 되어서 공부를 계획하고 과정을 함께 나누며 최종발표회로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생활인들의 공부 프로젝트 모임입니다.


1. 연구주제
여성 내면의 힘, 여성성을 찾아서 -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2. 세부내용
현대 여성이 겪는 커다란 문제 중 하나는 자기 안의 여성성을 편안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남성성이 긍정되고 여성성이 소외되는 가부장제 구조 아래서 여성은 자신의 여성됨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못하는 모순된 감정에 빠지게 된다. 연구자는 본인의 삶에서 이러한 내적갈등을 경험한 후 여성성과의 화해가 자기자신을 받아들이는 첫걸음이라고 느끼며 여성성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삶을 해석할 때 적용해보려했다. 이 과정에서 인류의 경험과 지혜가 응축된 옛이야기가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오랜 시간 전해내려온 옛이야기들은 21세기의 여성들에게 삶에 대해 어떤 조언을 해주고 있을까.

3. 연구동기
2020년 연구 주제는 '페미니즘의 원형을 찾아서'였다. 개인적 인생을 페미니즘을 통해 거시적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었던 경험을 계기로 페미니즘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추동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페니미즘의 원형을 '자기 인식을 통해 본래의 나로 돌아가고자 하는 힘'이라고 정의내리고 몸과 역사, 옛이야기, 개인적 경험을 통해 여성의 내적 성장을 이끄는 힘을 연구했다. 이 연구를 통해 페미니즘은 인류 전체의 개성화 과정으로 여성들의 성적 정체성을 토대로 한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이 연구 과정에서 나의 개인적 과제가 명확히 드러났다. 이제까지 내면의 힘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 헤매였었는데, 내면의 힘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여성들의 개성화 과정이 여성의 힘인, 여성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면, 여성성이 무엇인지 알고 이를 나의 힘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나를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한, 여성정체성과의 화해로 나아가고자 한다.

4. 연구방법
- 옛이야기를 인류의 집단무의식의 표현매체로 여기며 이를 여성심리, 여성의 삶과 연결한 책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 여성들과 관련 책을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를 삶의 이야기와 연결해본다.
- 원리와 적용이라는 두 정보를 연결하고 종합한다.

5. 연구내용와 참고문헌
1) 여성성이란 무엇인가?
•<분석심리학 3부작 : 아니마와 아니무스> 이부영
•<C. G. 융 우리시대 그의 신화>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인간과 상징> 칼 구스타프 융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칼 구스타프 융

2) 여성성을 품지 못하는 여성들 : 아버지의 딸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 읽기> 오이겐 드레버만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진 시노다 볼린
•<민담 속의 여성성>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3) 옛이야기와 인류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옛이야기 공부법> 김환희
•<신화의 역사> 카렌 암스트롱
•<신화의 힘> 조지프 캠벨, 빌 모이어스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나카자와 신이치
•<동화의 지혜> 루돌프 마이어

3) 옛이야기 속 여성들의 자기로의 여정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클라리사 에스테스
•<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 고혜경
•<여신에게로 내려가기> 실비아 프리튼 페레라
•<한국 민담의 여성성> 이유경
•<신화로 읽는 여성성 She> 로버트 A. 존슨
•<융 심리학과 고양이>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4) 옛이야기와 여성의 삶이야기 그리고 개인적 경험
•[달빛오두막] 모임
•<여자들의 꿈> 루시 구디슨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제레미 테일러

6. 2022년 연구의 방향과 목표
- 연구 내용을 블로그에 공개, 냇물에서 발표하고 참고문헌의 주요 저자들에게도 이메일로 전달한다. 연구에 대해 가능한 여러 곳에서 피드백을 받고 이를 내년 연구계획에 반영한다.
- 연구를 마무리하며 도출되는 과제를 2022년에 이어간다.
- 올 한해 옛이야기를 공부하며 초기 인류의 현현으로서의 어린아이들에게 관심이 생겼고 그러다보니 어린아이와 초기 인류가 그렸던 원형적 그림의 의미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가능하다면 내년에는 인류의 근원적 표현방식으로서의 그림에 대해 연구하고 그림과 마음에 대한 모임벗들의 연구를 통해서 나의 삶과 그림의 관계성, 그림으로의 접근법을 도출해보고 싶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