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여성의자아
- 페미니즘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공부
- 꿈해석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여신모임
- 여신찾기
- 여성들의삶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내면치유
- 여성주의책모임
- 일상학자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신
- 자아찾기
- 책모임
- 칼융
- 생애돌아보기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꿈모임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책모임
- 원형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의삶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3월 19일 달빛오두막 세번째 모임이 열렸습니다. 모임벗들에게도 코로나 쓰나미가 닥쳐서 미뤄진 일정상, 그리고 컨디션상 참석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았어요. 다음 번 모임에는 모두 건강히 얼굴뵐 수 있길 바랍니다. 세번째 만나본 옛이야기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이제까지 살펴본 이야기들처럼 '흰눈이와 빨간장미'도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다른 주인공들처럼 쫓기거나 갇히거나 잠에 빠져들지 않지요. 평온하고 안전한 환경 속에서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자라납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는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여정을 여러 상징을 사용하여 아름답게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 불안을 모른 채 유기적으로 성장하다 숲속오두막에서 흰눈이와 빨간장미가 어머니와 함께 평화롭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털가죽을 벗는 왕자] 흰눈이와 빨간장미는 도시에서 돌아오는 길에 자루에서 보석을 풀고 있는 난쟁이를 만난다. 그 보석은 난쟁이가 왕자에게서 빼앗은 것이다. 소녀들은 보석에 매혹되어 눈을 떼지 못하는데 이 때 곰이 나타나 난쟁이를 발로 차 쓰러뜨리고 저주에서 풀려 황금 옷을 입은 왕자로 되돌아온다. 어린시절의 양심(난쟁이)을 물리친 후에 성적충동의 에너지(곰)가 인간적 사랑(왕자)으로 거듭나는 장면을 이야기는 이처럼 강렬한 이미지를..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감시하는 초자아, 비난하는 난쟁이] 곰과 헤어진 흰눈이와 빨간 장미는 얼마 후 3번 집을 떠나는데 그 때마다 난쟁이를 만나게 된다. 난쟁이는 이야기 속에서 곰과 대립각을 이루는 캐릭터이다. 난쟁이는 왕자에게 저주를 걸어 곰이 되게 했고 보물도 빼앗았다. 그 저주는 난쟁이가 죽어야 풀리게 되어있다. 저자의 해석처럼 곰이 아이가 경험하는 성적 충동을 상징한다면 난쟁이는 아이의 내면에 어떤 점을 상징하고 있는걸까. 난쟁이는 항상 곤경에..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일곱번째 주인공은 흰눈이와 빨간장미입니다. 흰눈이와 빨간장미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불안과 분열없는 성장] [내 안의 곰과 만나기] 흰눈이와 빨간장미 이야기는 도입부에 인류 초기의 세계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신화적 분위기를 보이지만 이후의 서사는 동화의 흐름을 이어간다. 저자는 신화와 동화의 차이에 대해 '신화와 달리 동화는 자연속에서 인간의 위치를 지정하려 하지 않는다. 단지 갈등을 느끼는 한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는 법을 배울 수 있는지를 묘사한다.'라고 설명한다. '흰눈이와 빨간장미' 이야기는 이에 대해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