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옛이야기해석
- 생애돌아보기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삶
- 페미니즘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페미니즘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의삶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자아찾기
- 원형
- 여성주의책모임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일상학자
- 여신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칼융
- 여신모임
- 내면치유
- 꿈모임
- 여성주의모임
- 여신찾기
- 책모임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잃어버린 여자를 찾는 왕자의 모험] [만남과 치유] 가시장미 공주 원본을 읽으면서 가장 놀라웠던 부분은 구원의 왕자가 너무나 쉽게 공주에게 닿게 된다는 거였다. 용과 결투를 하지도 어려운 과제를 통과하지도 않는다. 단지 저주의 시간인 백년이 지났고 때마침 그왕자는 공주의 소문을 듣고 가시덤불 앞에 섰을 뿐이다. '타이밍이 모든 것'이라는 말이 이렇게 딱 들어맞는이야기가 또 있을까. 그런데 저자는 다른 시각에서 이 행운의 필연성을 풀어놓는다. 소문만으로도 공주의 존재를 찾아나서는 전적인 왕자의 믿음이 공주가 자신의 현실을 대면하기 위해 필요했던 백년이라는 시간과 맞물린다. 그 믿음과시간 뒤에는 두 사람의 내면서사가 있었다. 둘의 서사는 각자 삶에서 아쉬워했던 부분을 서로 완벽하게 채워준다. "왕자는 약함..

보름달 아래 여성들의 이야기 모임 [달빛오두막] - 열번째 달의 기운이 가장 큰 매달 음력 15일,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달빛 오두막] 모임을 엽니다. '옛이야기와 여성'이라는 주제 아래, 옛이야기를 함께 읽고 나의 삶 이야기와 연결해봅니다. 에 소개된 옛이야기들을 차근차근 살펴보며 이야기나누어요. 이번 달 이야기는 결혼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물개여인'와 '라로로나'입니다. 옛이야기 속의 결혼은 인간의 내면 성장 과정에서 무엇을 상징하고 있을까요? 두 옛이야기로부터 여성들이 가져와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그 의미를 살피며 실제 우리 삶에서 결혼이 어떠한 경험인지 이야기나눠 보겠습니다. - 일시 : 3월 27일(토) 밤 10시 ~ 11시 반 - 참여방법 : Zo..
[페미니즘 더하기] 페미니즘에 옛이야기와 심리를 더해 함께 읽어요! 🐺10월 28일 월요일부터 4주동안 [페미니즘 더하기] 모임에서는 옛이야기에 페미니즘을 더해봅니다. 을 함께 읽습니다. 🐺옛이야기는 단순히 가부장제가 표현되는 통로일까요? 옛이야기 속 가부장제 억압을 드러내고 그것을 재구성해보는 건 분명히 의미있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작업과 관계없이 지켜져야할 지혜의 보석이 숨겨져있지 않은지 발견해내는 것도 필요하겠지요. 🐺옛이야기는 긴 세월을 통해 다듬어져왔으며 그 속에 인간에 대한 인류의 지혜가 스며있습니다. 융은 이를 '원형'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은 이런 심리원형 중 특히나 여성들에게 전해주는 인류의 지혜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함께 책을 읽고 페미니즘적으로 옛이야기를 살펴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