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의자아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생애돌아보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찾기
- 원형
- 칼융
- 엄마와딸
- 꿈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삶
- 여성의삶
- 여신
- 일상학자
- 내면치유
- 여신모임
- 여성들의공부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꿈해석
- 심층심리학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성의자아
- 여성주의모임
- 자아찾기
- 생애돌아보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찾기
- 원형
- 칼융
- 엄마와딸
- 꿈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들의삶
- 여성의삶
- 여신
- 일상학자
- 내면치유
- 여신모임
- 여성들의공부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꿈해석
- 심층심리학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새와 우물의 첫 책모임,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책모임이 3월 27일 목요일 저녁에 열렸습니다.깜깜해진 저녁, 책방의 불을 켜고 비통한 마음들이 모여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어요. 나의 도덕적 당위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품고 견디는 사람들, 파커 파머는 이들을 '비통한 자들'로 명명하고 다정하게 말을 건넵니다. 비통함은 우리 삶의 다양한 장면에서 느껴졌습니다. 비슷한 가치관에 이끌려 들어간 공동체에서 오히려 마음이 흩어졌던 일,각자의 의견에 이르기까지의 개인서사는 인정하더라도 그 내용까지는 긍정할 수 없는 마음,답답한 현실에 자꾸 같은 의견을 가진 유튜브 영상을 챙겨보며 위안을 찾는 연악함까지.부정적인 느낌을 어떻게든 없애고픈 욕구로 바동거렸던 경험들이 모두에게 있었지요. 저자는 그 힘듦을 인정하..

책방 새와 우물의 첫 책모임 공지입니다. 첫 책모임을 어떤 책으로 할까 많이 고민했습니다. 그런데 시국이 그 모든 고민을 덮어버리네요. ’인간적‘이라는 말이 무색해져 염치와 배려가 실종되고, 나 중심의 극단주의로 세상이 시끄럽습니다. 최소한의 인간됨을 지켜줄 제도라고 믿었던 민주주의마저 흔들리는 듯 하네요.답답한 현실에 안타깝고 화도 나지만 과연 일개 개인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는건지 서글퍼집니다. 이런 마음들과 함께 이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회의 부조리에 분노하다 무기력해진 우리에게 보내는 파커 파머의 위로와 호소.분열의 시대, 무너지는 민주주의 앞에서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책을 읽고 이야기나눠보아요. - 일시 : 3월 27일(목) 저녁 7시 반- 장소 : 책방 ..

마지막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7~8장을 읽고 존재모임을 마무리하면서 3권의 책이 우리에게 건넸던 이야기를 다시 한 번 떠올려보고 우리 안에 드는 생각, 질문들을 나누었습니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나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이 민주주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나 자신으로 살기 위해서는 우선 내가 누구인지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자신이 누구인지 온전히 경험하고 말할 수 있는 장소, 즉 내면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고요하고 고독한 공간과 자기 이야기를 밖으로 꺼내놓을 수 있는 낯선 사람들과의 안전한 작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각자가 생각하는 '나의 안전한 공간'은 어디인지..

아홉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3~4장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자는 현실과 당위 사이의 간극을 품고 견디는 이들을 비통한 자들로 지칭하며 그들을 향해(우리이기도 하지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1, 2장에서는 마음이 부서진, 비통한 상태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그리고 그 마음이 어떠한 숨은 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3, 4장에서는 긴장의 의미와 긴장을 끌어안는다는 것의 가치 그리고 그 가치를 구현하게 해주는 틀로서의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비통함이라는 마음의 긴장은 그 상태를 벗어나고 싶다는 강한 욕구를 동반합니다. 그것이 평온이나 행복같은 긍정적인 에너지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자주 빠른 해결책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