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여신
- 페미니즘책모임
- 페미니즘
- 꿈해석
- 여신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원형
- 여성들의책모임
- 자아찾기
- 옛이야기해석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생애돌아보기
- 내면치유
- 여성들의이야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꿈모임
- 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옛이야기와여성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일상학자
- 여성의삶
- 여성주의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삶
- 여신찾기
- 칼융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여섯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사회의 배려감수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저자는 세월호 참사 피해 가족들과 성소수자들, 우리 사회의 소수 인종과 제소자들을 예로 들며 우리 사회가 취약한 상태에 놓인 이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사회적 태도가 이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세월호 참사는 여러 부분에서 우리 나라의 문제점들이 드러난 사건이었습니다. 안전에 예민하지 못했던 사회 분위기와 재난 구조 시스템의 허술함, 이후 피해가족에 대한 보상과 지원문제부터 미궁으로 빠지기만 하는 사고 원인까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맞물려 세월호 유가족들은 계속되는 트라우마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국가의 회복 지원은 세심한 배려 속에서 이..
네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부터 '아픔이 길이 되려면'을 함께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은 조금 생소한 분야인 사회역학을 풍부한 사례들과 친절한 어조로 설명해줍니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을 찾고 사람들이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건강한 사회구조란 어떤 것인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개개인이 겪는 차별과 고통을 법제화를 통한 사회 시스템의 마련을 통해 '집단적'으로 해결해야한다는 '이상한 정상가족'의 내용과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이상한 정상가족'이 개인적인 영역으로 여겨지는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개인에게 어떻게 배제의 힘으로 작용하는지 살핀다면 '아픔이 길이 되려면'은 좀 더 시야를 넓혀 사회적, 제도적, 자연적 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헤칩니다. 어떠한 환경적 상황은..
세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이상한 정상가족'을 마무리하면서 우리사회의 배타적 가족주의를 극복하고 더 나은 '함께 살기'로 나아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저자는 체벌금지법을 최로로 법제화한 스웨덴의 예를 들면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합니다. 스웨덴은 1950년대만 해도 체벌이 법으로 허용되었지만 긴 사회적 논의를 거쳐 1979년 모든 체벌을 법으로 전면 금지하게 됩니다. 유엔아동권리협학이 발효되기 10년 전에 이미 이러한 제도가 마련되었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더 인상적이었던 것은 법제화 이후 이를 알리기 위한 스웨덴 정부의 노력이었습니다. 우유병에 체벌금지법에 대해 알리는 스티커를 붙이고 아동병원과 산부인과를 통해서도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여갑니다. 또한 체벌 대신 아이를 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