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칼융
- 꿈모임
- 여신찾기
- 페미니즘책모임
- 심층심리학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들의삶
- 꿈해석
- 여신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
- 원형
- 옛이야기와여성
- 책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일상학자
- 여성주의책모임
- 내면치유
- 생애돌아보기
- 페미니즘모임
- 옛이야기해석
- 여성의삶
- 여성들의공부
- 페미니즘
- 여성의자아
- 여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자아찾기
- 여성주의모임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사통이네와 뒷동네의 2023 갈미문화책축제 콜라보 행사 [여화(女話)둥둥] 모임 후기 '여성'과 '이야기'로 2023년 갈미문화책축제를 꾸려갔던 사통이네 책마당과 뒷동네 도서관의 마지막 행사, '여자들의 파티, 여화(女話)둥둥'이 지난 토요일 진행되었습니다. 파티 컨셉에 맞게 풍선아트로 공간도 아기자기하게 꾸며졌구요. 사통이네 도서관과 뒷동네 도서관에서 올해 책축제에 함께 읽은 책들도 한 켠에 전시해 놓았습니다. 첫번째 시간은 [타로를 통한 나의 이야기]였습니다. 언어로, 현실의 논리로 설명하기 힘든 내 감정과 생각을 타로카드가 보여주는 그림으로 만나보았습니다. 모두가 두 종류의 카드를 뽑고 카드의 그림을 보면서 떠오르는 생각을 적고 나누었는데요, 각자의 해석에 강사님의 해석이 더해지고 그게 삶의 장면들..

[11월의 이야기 정원] 이지혜 게임 함께 하기 11월 7일 토요일에 '책읽는 정원'에서 페미니즘 보드게임 '이지혜 게임'을 진행합니다. 여성의 삶의 서사를 게임 안에서 경험할 수 있는데요, 형식은 재미있지만 게임 목표가 '이지혜 살리기'인만큼 묵직한 주제를 느낄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며, 인생의 고비마다 흔들리고 방황하는 이지혜에게서 우리의 삶 또한 비춰보고, 여성의 생애주기를 보여주는 책들도 만나봅니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페미니즘 교육으로도 많이 활용된다고 해요. 특히 부모와 십대 청소년이 함께 하면 깊은 세대차에 희망과 먹먹함을 함께 느끼실 수도 있어요. ^^ 12세부터 참여가능하니, 가을저녁 나들이 삼아 가족이 함께 참여해보시면 어떨까요? '대한민국에서 여성으로 살아남기!' [이지혜 게임]..
2월 13일 목요일 오전, '냇물아 흘러흘러'에서 [이지혜 게임] 모임을 가졌습니다. 40대 여성 3명과 10대 남아 2명이 함께 1시간 반동안 이지혜의 인생 여정과 함께 했어요. 처음에는 플레이어의 숫자를 채우려고 2명의 남자친구들을 초대했거든요, ^^;; ㅎㅎ 그런데 결국 이 두 분의 참여로 게임이 훨씬 풍성하고 의미있게 진행되었습니다! [이지혜 게임]은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의 페미니즘 버전입니다. 이지혜라는 평범한 대한민국 여성의 탄생과 죽음까지의 인생 여정을 따라가며 선택의 고비마다 조언을 해주어야 하지요. 플레이어들은 이지혜와 이지혜의 가족, 지인들로 역할을 나누게 되는데요, 각 지인들은 이지혜 내면의 사회성, 자존감, 감수성, 스트레스, 순응도를 반영합니다. 주인공인 이지혜 역할은 게임 카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