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생애돌아보기
- 옛이야기해석
- 여성주의책모임
- 원형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삶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신찾기
- 꿈해석
- 여성들의책모임
- 일상학자
- 내면치유
- 여성주의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칼융
- 심층심리학
- 여신
- 자아찾기
- 여성의삶
- 여신모임
- 책모임
- 꿈모임
- 페미니즘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__ ]하는 새 여자'의 시작을 축하해주시고 응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맛있고 즐거웠던 오픈파티 현장 사진 공유합니다. ^^ '[ __ ]하는 새 여자'는 여성의 삶이 각자의 맥락을 가진 이야기로 펼쳐지는 시간들을 마련하는 여성 서사 이야기 모임 기획단입니다. 삶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를 겸손하게 만듭니다. 도드라지지 않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는 더 그렇지요. 채워지지 않은 빈칸, [__]이라는 무한한 가능성 안에서 새(bird)처럼 자유롭게 과거-현재-미래의 틈새(between)를 잇고 새롭게(new) 거듭나는 여자들의 이야기를 이제 '[__]하는 새 여자'에서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앞으로 예정된 프로그램 일정을 공유합니다. 어느 모임에서든 또 반갑게 만나요! 모든 프로그램은 사통이..
🎈여성 서사 이야기 기획단 '[ _ 하는 ]새 여자'의 [행간, 머물다] 모임에서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 '내 이름은 루시 바튼'을 2주간 함께 읽었습니다. 마지막날 함께 나눈 후기를 올립니다. "너희가 다른 누구보다 더 잘났다는 생각은 절대 하지 마라. 내 교실에서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이곳에서 다른 사람보다 더 잘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루시 바턴의 학창 시절에 헤일리 선생님은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하며 루시 바턴을 조롱하던 아이에게 일침을 가한다. '모두가 같다.' 헤일리 선생님에겐 이것이 존중이고 사랑이었다. 나는 이런 어른을 만나보지 못했다. 선생님들은 항상 네 옆의 아이보다 더 나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는 그 아이들보다 '잘 난' 아이였다. 선생님들은 대 놓고 나를 ..

의왕시 내손동 중심의 문화사업인 갈미문화마을의 책축제 한 꼭지로 의왕시 청계동 사통이네 도서관에서 [시(詩), 그림 그리고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시와 그림을 연결하여 상징이 전하는 이야기들을 만나보려합니다. 이제까지 제가 집중했던 '여성' 주제의 이야기를 아무래도 많이 하게 될 것 같아요. 여성들의 목소리가 펼쳐지는 창구로서의 시와 그림을 만나러 오세요~ 갈미문화마을 책축제- 시, 스며들다 5 [사통살롱 2차 : 시(詩), 그림 그리고 이야기 ] 참가자 모집 혼자 품기에 너무 버거운 마음은 언어를 통과하면 시로, 손에서 태어나면 그림이 되지요. 뜨거운 시적 울림이 느껴지는 그림과 읊조리면 머릿 속에 이미지가 떠오르는 시를 만나봅니다. 그리고 그 속의 상징들과 우리의 마음들을 연결해보아요. 상징이 전하는..

2022년 의왕시 인생대학 프로그램으로 '옛이야기가 들려주는 여성의 삶'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의왕시 청계동 작은도서관인 사통이네 책마당에서 진행합니다. [옛이야기가 들려주는 여성의 삶] 그림형제 옛이야기를 함께 읽고 옛이야기가 여성에게 전하는 원형적 메세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하며 옛이야기를 통해 '여성으로서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입니다. 내가 지금 겪고 있는 삶의 여정은 어떤 의미일까요? 이 여정을 잘 통과하기 위해 내가 바라봐야 할 지향점은 무엇일까요? 고난과 모험, 온갖 시험을 통과한 옛이야기의 여성 주인공들이 나에게 전하는 메세지를 발견보아요. - 1회차 : 아버지의 딸 [영리한 엘제] - 2회차 : 여성의 몸 [가시장미 공주] - 3회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