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들의삶
- 원형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내면치유
- 옛이야기와여성
- 꿈모임
- 옛이야기해석
- 여성주의모임
- 여신
- 꿈해석
- 여성들의책모임
- 여성들의공부
- 자아찾기
- 여신모임
- 칼융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자아
- 여신찾기
- 여성들의이야기
- 책모임
- 일상학자
- 페미니즘책모임
- 생애돌아보기
- 페미니즘
- 심층심리학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며칠 전 [한 여자]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장르구분으로는 소설이긴 하지만,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엄마가 돌아가시고 난 후 엄마라는 한 여자에 대해 그의 성장배경 안에서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탐색하며 써내려간 글이다. 여성됨의 여정이 결국 딸이 되는 여정으로 이어지리라 예사아하며, 그 길을 조금이나마 간접적으로 경험해보고자 읽어나갔다. "나는 어머니의 폭력, 애정 과잉, 꾸지람을 성격의 개인적 특색으로 보지 않고 어머니의 개인사, 사회적 신분과 연결해 보려고 한다. 그러한 글쓰기 방식은 내 보기에 진실을 향해 다가서는 것이며, 보다 일반적인 의미의 발견을 통해 개인적 기억의 고독과 어둠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돕는 것이다. 하지만 내 안의 무언가가 뻗대고 있고, 어머니에 대해 순수하게 감정적인 이미지..
11월 2일 (화) 오전 일상학자 2기 첫번째 모임 1. 모임에 거는 기대, 의미 나누기 - 일상학자 모임을 만들게 된 계기, 모임의 의미 공유. - 일상학자 모임을 신청하게된 이유, 기대점 이야기 나눔. - 일상학자 모임을 시작하면서 드는 걱정, 두려움 나눔 : 연구 주제를 정리하며 어디까지 나를 객관화할 것인가의 문제는 각자의 선에서 조율해나간다. 의도적인 객관화가 연구 내용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으나 오히려 자신이 바라는 방향으로의 마무리에 방해를 할 수도. - 우리 안에 모아진 마음 : 내 안의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일년간의 나를 정리하고 싶고, 든든한 동료들과 함께 하며 힘을 받고 싶다. 그리고 그 여정을 주변에 나누며 각자의 삶의 질문은 무엇인지에 대해 돌아보게 만드는 기회를 줄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