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책모임
- 꿈해석
- 여신
- 페미니즘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주의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원형
- 여성의자아
- 일상학자
- 여신찾기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옛이야기해석
- 여성들의삶
- 자아찾기
- 옛이야기와여성
- 칼융
- 꿈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
- 내면치유
- 생애돌아보기
- 여신모임
- 여성의삶
- 심층심리학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며칠 전 [한 여자]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장르구분으로는 소설이긴 하지만,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엄마가 돌아가시고 난 후 엄마라는 한 여자에 대해 그의 성장배경 안에서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탐색하며 써내려간 글이다. 여성됨의 여정이 결국 딸이 되는 여정으로 이어지리라 예사아하며, 그 길을 조금이나마 간접적으로 경험해보고자 읽어나갔다. "나는 어머니의 폭력, 애정 과잉, 꾸지람을 성격의 개인적 특색으로 보지 않고 어머니의 개인사, 사회적 신분과 연결해 보려고 한다. 그러한 글쓰기 방식은 내 보기에 진실을 향해 다가서는 것이며, 보다 일반적인 의미의 발견을 통해 개인적 기억의 고독과 어둠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돕는 것이다. 하지만 내 안의 무언가가 뻗대고 있고, 어머니에 대해 순수하게 감정적인 이미지..
11월 8일 (월) 오전 일상학자 2기 두번째 모임 톡에서 미리 공유한 각자의 연구계획서에 대해 이야기나누고 다른 벗들의 의견을 들으며 정돈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살림님 연구계획서에 대한 이야기 [의견] 연구 동기로 제시된 게 두가지인데 일상학자에 참여하게 된 동기보다는 연구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서사를 드러내면 좋을 것 같다. 연구는 보통 하나의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어떤 결론으로 수렴되는 지 연구계획서에드러나있지 않아서 방향이 잡히지 않는다. 가설을 세우는 게 일상학자의 연구에서 힘든 일일 수 있다. 그렇다면 연구목표를 세워보는 건 어떨까. 이 연구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결론이 아니더라도 목표를 세우면 방향성이 생길 것이다. 연구 흐름이 수렴되지 않는다면..

학교를 떠난지 오래인데, 하고 싶은 공부가 생겼나요? 누가 시키지 않아도 일상의 틈에서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나요? 공부에서 얻은 것들을 내 것으로 소화할 방법을 찾고 있나요? 그리고 혹시,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혼자만의 공부가 외롭게 느껴지지는 않나요? 만약 그렇다면 일상에서 자기주도 공부로 발견한 깨달음을 [일상학자] 모임에서 나눠보아요! 일상 속에서 공부의 틈을 마련하고 새로운 배움에 때때로 혼자만의 희열을 느끼고 계시다면, 여러분은 이미 '일상학자'입니다. [일상학자] 1기가 각자 집중할 연구 주제를 발견하고 계획을 세워 함께 응원하며 '나'를 다시 만나는 과정에 집중했다면, 2기는 각자의 일상 속에서 진행되온 공부를 '정리하고 발표'하는데 초점을 맞추려고 합니다. 함께 모여 이제까지의 공부여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