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면치유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일상학자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들의공부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꿈모임
- 페미니즘책모임
- 생애돌아보기
- 여신찾기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심층심리학
- 여신
- 자아찾기
- 여성의삶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칼융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주의모임
- 페미니즘
- 옛이야기해석
- 꿈해석
- 원형
- 여성들의삶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면치유
- 여성의자아
- 여성들의책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일상학자
- 여신모임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성들의공부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꿈모임
- 페미니즘책모임
- 생애돌아보기
- 여신찾기
- 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심층심리학
- 여신
- 자아찾기
- 여성의삶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칼융
- 여성주의책모임
- 여성주의모임
- 페미니즘
- 옛이야기해석
- 꿈해석
- 원형
- 여성들의삶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안에서만 열리는 관] 세상의 황금을 다 준다해도 백설공주의 관을 내줄 수 없다던 난쟁이들은 백설공주를 가장 사랑하는 사람으로 받들고 존중하겠다는 왕자의 약속을 듣고 관을 내어준다. 왕자는 하인들을 시켜 관을 어깨에 메고 가게 하는데, 중간에 덩굴에 걸려 관이 흔들리자 백설공주의 목에서 독사과 조각이 나와 백설공주가 깨어난다. 공주가 죽음같은 삶에서 깨어나 왕자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순간이다. 디즈니는 이 중요한 장면을 왕자의 키스라는 로맨틱한 이..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남자 사냥꾼 혹은 푸른수염] 백설공주는 사냥꾼에게 간절히 요청하여 죽임을 면하고 숲 속으로 도망친다. 저자는 이 장면을 백설공주가 남성과의 만남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사냥꾼 남자, 칼을 가진 남자, 살인마 남자 같은 '푸른수염'류의 환상은 성적불안을 가진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런 내면의 불안은 어머니로부터 딸로 전해진 것인데, 상징적으로 보면 '바늘에 찔리는 것'에서는 '칼로 살해위협을 당하는 것'으로 고조되었음..
* [달빛오두막] 모임에서는 '어른을 위한 그림동화 심리읽기'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 여성과 여성들의 이야기, 이 둘을 연결해봅니다. 여섯번째 주인공은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와 함께 하며 모임벗들과 나누었던 후기들을 올립니다. 현재 2기가 진행중입니다. [어머니는 왜 딸이 죽기를 바랄까] [젊음에 대한 치명적인 질투] 놀랍다. 옛이야기를 향한 저자의 해석 곳곳에서 페미니즘이 느껴진다. 옛이야기 안에서 여주인공들이 수동성 안에 갇혀있다며 분노하는 것만이 페미니즘이 아니라는 건 어슴프레 느끼고 있었지만 그렇다면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옛이야기를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이 또 가능한가? 라고 스스로 질문했을 때 또렷한 답이 떠오르진 않았었다. 그런데 저자는 이야기 속 여성 캐릭터들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