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꿈해석
- 페미니즘모임
- 생애돌아보기
- 페미니즘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책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페미니즘책모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칼융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옛이야기와여성
- 여신찾기
- 여신모임
- 여성들의삶
- 여성주의모임
- 꿈모임
- 자아찾기
- 여신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들의책모임
- 원형
- 심층심리학
- 여성의삶
- 내면치유
- 여성들의공부
- 옛이야기해석
- 일상학자
- 여성의자아
Archives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M57rh/btqxEjOTIl4/FCgEKNxZtx69BnxAtq9Ys1/img.jpg)
'글로 만나는 여성의 삶, 나의 삶' 세번째 모임에서는 를 함께 읽으며 옛이야기 속에서 여성의 삶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랜 시간을 두고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옛이야기는 인류 정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원형 에너지를 품고 있습니다. 여성 캐릭터의 서사가 전하는 여성성의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면서 각자의 삶으로 가져가야 할 과제는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았어요. 은 심청이라는 연역한 여성이 죽음과 부활을 통해 충만함으로 재탄생하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 속에서 심봉사는 공허하고 우울한 남성성을 상징하며 심청은 남성 우위의 사회에서 희생되는 여성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심봉사의 분별없는 '눈 먼 상태'는 결국 체면때문에 딸을 죽음으로 몰고 갑니다. 심청도 이러한 결정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
여성들의 함께 읽기/여성, 삶을 글로 쓰다
2019. 8. 22.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