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페미니즘모임
- 책모임
- 페미니즘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이야기
- 여성의삶
- 일상학자
- 칼융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꿈모임
- 여성들의공부
- 자아찾기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생애돌아보기
- 내면치유
- 여신모임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신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삶
- 심층심리학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들의책모임
- 여성의자아
- 여신찾기
- 옛이야기해석
- 옛이야기와여성
- 원형
- 여성주의책모임
Archives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열번째 모임을 잘 마쳤습니다. 이번 모임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5~6장을 함께 읽고 낯선 이들과 함께 하는 삶의 의미와 그런 '공적인 삶'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나누었습니다. 저자는 활력있는 공적인 삶은 민주주의의 열쇠라고 이야기하면서 공적영역을 통해서만이 정치와 자본의 권력으로부터 사적인 삶도 보호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공적인 삶은 무엇이고, 낯선 사람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걸까요? 우리 안에서도 이에 대한 기준은 달랐습니다. 내가 선택한 작은 모임들을 공적인 삶으로 보시는 분이 있는가 하면 나의 개인적인 욕구보다 큰 의미를 향한 활동을 공적인 삶으로 여기시는 분도 계셨습니다. 저자는 공적인 삶을 낯선 사람들이 서로 자유롭게 섞이면서 사회적, 정치적 연합의 유대..
존중과 스며듦/존재를 향한 태도
2019. 4. 19.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