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책모임
- 옛이야기와여성
- 여성들의책모임
- 여신찾기
- 여성주의모임
- 심층심리학
- 여신
- 생애돌아보기
- 여성의자아
- 내면치유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페미니즘
- 원형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여성주의책모임
- 꿈해석
- 옛이야기해석
- 꿈모임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자아찾기
- 여성들의삶
- 칼융
- 여성의삶
- 페미니즘모임
- 여성들의이야기
- 페미니즘책모임
- 일상학자
- 여신모임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일상학자]는 생활인들의 공부 프로젝트로, 각자 집중하고 있는 주제의 '학자'가 되어 공부를 계획하고 과정을 함께 나누며 발표회로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1년 과정의 모임입니다. 모집 공지를 올렸던 2020년 1월부터 최종발표회를 열었던 2021년 1월까지, 1년 동안의 모임 여정을 모아 기록집을 만들었습니다. 일상학자들은 1년 동안 나를 뜨겁게 하는 주제를 찾고 연구했습니다. 그것은 연구주제 뿐 아니라 나라는 인간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해야만 했던 과정이었습니다. 그래서 1년간의 연구 안에는 연구자들의 자기발견이 섬세하게 들어가 있습니다. 이렇게 각자의 연구를 진행했지만 모임 안에서 서로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 받기도 했습니다. 연구보고와 과정 기록의 형식이지만 이것은 읽는 분들을 향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

📖 생활인들의 공부 프로젝트 모임, [일상학자] 최종 발표회에 초대합니다! 📖 [일상학자]는 각자 집중하고 있는 주제의 '학자'가 되어 공부를 계획하고 과정을 함께 나누며 발표회로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1년 과정의 모임입니다. 지난 2020년 1월 냇물에서 첫 모임을 갖고 6~7월에 중간발표를 하였으며 만 1년이 된 지금, 최종 발표를 하게되었습니다. 📖모임벗들은 일상의 흐름 안에 학자의 자리를 만들며 삶과 공부의 균형점을 찾는 작업을 열심히 이어왔습니다. 집에선 엄마, 주부, 일터에선 노동자라는 24시간이 모자란 역할들 틈 사이로 '학자'의 자리를 심으며 모임벗들은 무엇을 찾고자 했을까요? 무엇이 이 여성들을 치열하게 만들었을까요? 📖 코로나 상황 속에서 고군분투하면서 힘겹기도 했지만 연구 주제 뿐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