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삶
- 여성들의이야기
- 원형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모임
- 여신찾기
- 여신
- 여성의삶
- 옛이야기와여성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책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페미니즘모임
- 칼융
- 내면치유
- 여성의자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생애돌아보기
- 엄마와딸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아찾기
- 여성의몸여성의지혜
- 여성주의모임
- 여성들의삶
- 여성들의이야기
- 원형
- 어른을위한그림동화심리읽기
- 여성들의공부
- 여성들의이야기모임
- 여신모임
- 여신찾기
- 여신
- 여성의삶
- 옛이야기와여성
- 일상학자
- 꿈모임
- 여성들의책모임
- 페미니즘
- 꿈해석
- 페미니즘책모임
- 책모임
- 여성주의책모임
- 심층심리학
- 페미니즘모임
- 칼융
- 내면치유
- 여성의자아
- 옛이야기와페미니즘
- 생애돌아보기
- 엄마와딸
- Today
- Total
내 안의 여신찾기
[여신의 언어] 21장~24장 후기 본문
* 2025년 5~6월에 진행되었던 '여신의 언어' 온라인 읽기 모임에서 나누었던 글들을 올립니다.
[21장 재생의 상징 음문: 삼각형, 모래시계, 새 발톱]
- 삼각형 문양은 음문, 자궁 부위의 커다란 삼각형 문양 의미
- 삼각형이나 모래시계는 맹금류의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여신 상징. (손이 새 발 모양)
- 삼각형이 두 개 붙은 모래시계는 죽음과 재생의 여신 상징.
- 삼각문양과 모래시계 형태는 병립.
- 모래시계 형상 인물들이 춤을 추는 모습은 에너지 넘치는 재탄생을 목격하는 이미지.
- 모래시계 형태로 채워진 수직기둥은 생명의 기둥을 나타냄.
- 손가락이 세개인 여신들의 새 발은 재생의 잠재력을 상징.
앞에서 계속 되던 문양 설명들이 더해지고 이어집니다. 삼각형은 자궁부위, 모래시계는 삼각형 두 개 합친 것, 그리고 여기에 새 발이 더해져서 재생의 여신이 되네요.
![]() |
![]() |
![]() |
모래시계 여신들 보면서 파워숄더 패션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새발 여신들 보니 포뇨가 완전히 변신하기 전 중간 과정에서 발이 새발이었던 게 연상되더라구요.
애도가 아니라 재생 에너지에 대한 경탄을 나타낸다고 김부타스가 해석한 모래시계 여신들 군무는 큰 하트 그리며 사진찍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옆에 발기한 남신들은 별로 그리기가 싫어서. -_- 여신들만 쭉 이어 그려봤어요.
[22장 재탄생의 배]
- 무덤내부 벽면에 배 무늬들은 죽음 의례와의 관련 시사
- 뱃머리에 새발가진 물고기는 여신이 배를 끌며 물을 가로지르는 형상.
- 배와 뱀은 치환 가능한 상징으로 추측. 생명의 재탄생 의미
배는 저승과 이승을 잇는 오랜 상징인데, 그 기원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여신이 재탄생의 배를 이끈다는 해석에서는 이시스 여신이 죽은 오시리스를 배에 태워 데리고 오던 장면이 생각났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오시리스 부활) 이시스 오시리스 신화는 진짜 신화 중의 신화인 것 같아요.
[23장 개구리, 고슴도치, 물고기]
- 개구리, 두꺼비, 고슴도치, 물고기는 장례의 상징이자 생명의 상징.
- 개구리와 두꺼비는 오랫동안 민간신앙에서 임신, 아기, 자궁과 연관.
- 개구리 여신의 모습은 출산자세라기보다 개구리가 재탄생상징들과 연결되어있기에 재탄생의 자세로 보는 것이 타당.
- 독일에서는 자궁에 문제가 있는 여인들이 성모마리아에게 두꺼비 이미지를 봉헌.
- 새싹, 꽃봉오리 형상 두부의 두꺼비 여신상들.
- 고슴도치는 활력, 아름다움을 선사, 상처를 치유, 성생활에도 영향미치는 동물로 간주.
- 고슴도치를 자궁과 연관지음, 고슴도치 모양 옹관들.
- 물고기와 여신의 자궁은 상동관계.
-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초기에 사슴과 물고기는 생명부여 여신, 개와 멧돼지는 죽음의 여신과 연관.
세일라-나-기그스(sheelb-na-gig)는 음부를 벌리는 여신이미지인데 저게 유럽 성이나 교회 입구에 장식되어 있다니? 무덤 유물이 아니고? 인도도 아닌데 놀라워요. 특정 이름을 갖게 되는 특정 형상의 유물의 경우 이름의 유래가 궁금한데, 검색을 해도 아직 찾질 못했어요. 혹시 알게되면 공유해주세요.
이집트의 개구리 여신 하키트는 헤케트로 더 많이 불려지는 듯 합니다. 나일강 범람 후 수백만 개구리가 등장하기 때문에 개구리가 다산의 상징이 되었다네요. 옛이야기의 개구리들이 성적인 상징을 나타낸다는 걸 들으면서도 와닿지가 않았는데, 성적이라기보다 김부타스의 해석대로 다산과 생명의 상징으로 바라보니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헤카테 여신의 별칭이 바우보!? 성기부분만 있는 여신이고 딸을 잃고 우울해진 데메테르는 성기댄스로 웃게했다는 여신이 바우보인데, 헤카테랑 두꺼비랑 이렇게 이어지는게 신기해요.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떡두꺼비같은~ 이 말 안에도 저런 생명 에너지가 들어있는걸까요?
이미지는 차례대로 세일라-나-기그스 / 헤카테 /바우보입니다.
![]() |
![]() |
![]() |
[24장 수소, 벌, 나비]
- 자궁과 수소는 재탄생의 물과 동일시. 여성의 자궁과 나팔관이 수소 뿔과 놀랍게 닮았음.
- 정착생활 시작과 동시에 뿔, 버크나리움(수소의 두개골을 본뜬 장식 조각), 수소 모양 토기 들이 등장.
- 신화와 민담에서 호수나 강은 황소가 연관. 강의 신은 한결같이 수소.
- 수소 몸에서 자라는 식물이나 꽃은 생명의 힘을 선명하게 표현.
- 벌과 나비는 여신의 현현을 표현.
- 다양한 도래의 문양들과 함께 나비문양이 등장. 수소 몸이나 두개골에서 나비가 탄생하는 장면.
- 여신이 곤충으로 등장할 경우 나비로 자주 등장.
- 나비가 두려움을 일으키는 상징인 이유는 위험하고 무서운 여신이기 때문.
자꾸 벌문양이 거미처럼 보입니다. ㅎ 김부타스쌤께서 꽁무늬 침이 있으니 벌이라고 하시니 네, 하고 일단 벌로 열심히 상상해보았네요.
나비 상징이 여신을 뜻하기에 두려움을 일으킨다는 해석도 인상적이었습니다. 프시케의 이미지가 나비이긴 하지만 유약한 느낌이고 우리 민담 속 나비는 반가운 영혼인 경우가 많아, 신기하네요.
수소 상징이 여신과 이어지는 부분에선 자연스럽게 조지아 오키프 작품들이 떠올랐어요. 오키프는 정작 그런 면으로 해석해서 말한 적은 없다지만, 수소가 여신상징이라는 걸 몰랐어도 거대한 에너지의 표현으로 소 머리뼈를 택한게 집단 무의식 안에서 연결된 증거같기도 해요.
![]() |
![]() |
작년에 몽골갔을 때 본 진짜 소 두상 뼈도 공유해봅니다. 광활한 초원 위에 드문드문 있는 뼈들이 무척 신성하게 느껴졌었어요.